“회사가 몸에 해롭다더니”…주52시간 넘게 근무하면

5 hours ago 2

사회

“회사가 몸에 해롭다더니”…주52시간 넘게 근무하면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주당 52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뇌 구조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연세대와 중앙대 연구진이 의료 분야 종사자 110명을 분석한 결과, 장시간 근무하는 이들은 뇌의 전두엽 등 17개 부위의 용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과로와 뇌의 구조적 변화 간의 연관성을 밝히며, 과도한 근무 시간을 줄이는 직장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야근하는 근로자들 모습.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야근하는 근로자들 모습.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일주일에 52시간 이상 근무를 할 경우 건강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뇌 구조까지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와 중앙대 공동 연구진이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직업 및 환경 의학’ 저널을 통해 공개한 연구 내용에 따르면, 주당 52시간 이상 장기 근무는 문제 해결 능력과 기억력, 감정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의료 분야 종사자 110명의 뇌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분석했다. 이 중 32명은 주당 최소 52시간 일하는 과로 그룹이었고, 78명은 주당 40시간 정도로 표준 근무 시간을 유지하는 이들이었다.

조사 결과, 장시간 근무하는 이들은 뇌 전두엽 중앙 전두회 부위의 회백질 용량이 평균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위는 주의 집중, 작업 기억, 언어 관련 처리 등 복합적인 인지 기능에 관여한다.

또 주의, 계획,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상전두회, 감각·운동 기능 통합, 감정 처리, 자기 인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섬엽 등 17개 부위의 부피가 증가한 것도 확인됐다.

연구진은 “과로한 사람들은 실행 기능 및 감정 조절과 관련한 뇌 영역에서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고 짚었다.

이어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시간 근무와 뇌의 구조적 변화를 연결하는 새로운 신경생물학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과로를 직업 건강의 문제로 다루는 것의 중요성과 함께 과도한 근무 시간을 완화하는 직장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같은 구조적 변화가 장시간 근무로 인한 것인지,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해 개인에게 더 오래 일하는 성향을 부여한 것인지는 판단할 수 없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