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역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 역성장을 기록한뒤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다시 반납했다. 미국발 관세 전쟁 영향이 반영되기 이전부터 한국 경제가 저성장 늪에 빠졌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24일 올해 1분기 실질 GDP(속보치)가 지난해 4분기 보다 0.2%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한은의 전망치(0.2%)보다 0.4%포인트(P) 낮은 수치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4% 감소했다.
한국 경제는 지난해 1분기 코로나 종식에 따른 기저 효과로 1.3% 반짝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2분기 이후는 사실상 답보 상태다. 2분기 -0.2%, 3분기 0.1%, 4분기 0.1% 이후 다시 올해 1분기 -0.2% 역성장을 기록하면서 1년간 성장분을 모두 내줬다.
민간 소비가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 장기화한 건설 불황이 올해 1분기 역성장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의료·오락문화 부문 소비가 부진하면서 민간소비가 전 분기보다 0.1% 감소했고, 건설투자도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3.2% 줄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중심으로 2.1% 감소했다. 수출은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중심으로 1.1% 감소했다.
더 큰 문제는 미국발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이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상호관세 부과 전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산업 경기 부진이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면서 2분기 GDP 전망에 대한 언급을 자제했다. 앞서 한은은 올해 2분기 성장률을 0.8%, 연간 성장률을 1.5%로 전망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