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가 아파트 시장이 6·27 대출 규제로 인해 규제 강도가 높은 강남 3구 대신 비강남권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다시 활력을 찾고 있다. 특히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9월 들어 급증하며, 규제 여파로 늘었던 9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는 등 시장의 양극화와 풍선 효과가 뚜렷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 분석 결과,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전체 거래 5186건 중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070건)를 기록하며 전월(17.0%) 대비 4%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지난 6월 28.2%였던 이 비중은 대출 규제 직후 8월 17.0%까지 급감했으나, 두 달 만에 다시 20%를 돌파한 것이다.
이러한 고가 거래 증가를 이끈 것은 15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아파트로, 해당 비중이 전월(14.6%)보다 약 5%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19.4%를 차지했다. 이는 9·7 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가능성이 높아진 성동·마포·광진·동작구 등 비강남 한강벨트가 매수세를 흡수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 금호파크힐스 전용 59.9㎡는 20억5000만원, 마포구 아현동 래미안푸르지오1단지 전용 59.9㎡는 2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각각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반면 6·27 대출 규제로 전세 낀 매수가 불가능해 직격탄을 맞은 강남 3구의 3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9월 1.5%로, 6월(4.2%) 대비 절반 이하로 줄었다.
중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9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8월 50.7%에서 9월 42.6%로 줄어들며, 규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갭투자가 막힌 강남권 대신 비강남 한강벨트로 매수세가 쏠리는 풍선 효과가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3 weeks ago
11

![[한경 매물마당] 강남 역삼역세권 신축 부지 등 6건](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11/3, MK추천매물] 서초구 서래마을 투자용 고급주택 100억원 등](https://pimg.mk.co.kr/news/cms/202511/03/news-p.v1.20251103.a7fc6d03b9564b8baad76caa3715e6b5_R.jpg)

!["한강 위주로만 보여주세요"…오르는 곳만 오르더니, 결국 [돈앤톡]](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17065.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