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초강력 부동산 대책이 전날부터 시장에 본격적으로 적용됐습니다.
서울 모든 지역과 경기도 12곳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가 적용되면 집을 사기 위해선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또 2년간 실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를 낀 매수(갭투자)가 불가능합니다.
무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40%로 줄어들고, 15억원 이하 주택은 6억원, 15억~25억원 이하는 4억원, 25억원 초과는 2억원으로 대출 금액이 줄어드는 규제지역과 관련한 조치는 이미 지난 16일부터 적용이 됐습니다.
지난 19일까지 부동산 시장은 이른바 '5일장'으로 불렸습니다. 규제가 나온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까지 막바지 매수·매도가 치열하게 이뤄졌습니다.
용산구에 있는 A 공인 중개 대표는 "규제가 발표된 이후 대체 계약을 몇 건 진행했는지 모를 만큼 손님이 밀려들었다"면서 "일요일까지 쉬지도 못하고 전화기를 붙잡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강동구에 거주하는 40대 직장인 장모씨는 "주말에 갑자기 우리 단지를 매수하고 싶어 하는 손님이 있다는 부동산 공인중개업소의 연락을 받았다"며 "팔 생각은 없었지만 얼마를 생각하느냐고 물었고 최근 매수가격보다 2억원이나 높은 가격을 부르더라"고 귀띔했습니다.
5일장 기간 전세를 낀 매수가 특히 많았습니다. 전날부터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기 때문에 실거주 의무가 있어서입니다.
마포구에 있는 B 공인 중개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갭투자가 막히기 때문에 미리 괜찮은 매물을 잡으려는 손님들이 많았다"며 "최근에 이렇게 바빴던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눈코 뜰 새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강서구에 갭투자 물건을 가지고 있던 30대 백모씨는 "그동안 재건축과 관련한 구체적인 얘기가 없어 집값이 많이 뛰지 않았는데 갑자기 가격을 올려서 사겠다는 사람이 나타났다고 연락을 받았다"며 "앞으로 재건축 단지도 쉽게 거래하지 못한다는 얘기를 들어서 이번 기회에 정리했다"고 했습니다.
폭풍 같은 주말이 지나고 이번 주 들어선 언제 그랬냐는 듯 한산한 모습입니다.
마포구에 있는 C 공인 중개 관계자는 "사실상 마지막이었던 19일부터 문의가 꽤 많이 줄었다"며 "오늘도 마찬가지다. 요 며칠 새 팔릴만한 물건들은 대부분 팔린 상황이라 당분간은 조용할 것으로 본다"고 했습니다.
동작구에 있는 D 공인 중개 관계자도 "당분간 거래가 쉽지 않아진 만큼 가격도 조정받지 않겠느냐"며 "이제 규제가 시작된 거라 일단 상황을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10·15 부동산 대책으로 당분간 거래가 부진할 것으로 봅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단기적으로는 대책 발표에 따른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엔 시장 전반의 동반 상승보다는 입지·상품성·자금 여건에 따른 '선택적 회복' 구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도 "이번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강남권과 한강 벨트의 포모(FOMO·소외 공포감) 및 패닉바잉 수요는 거래가 일부 숨을 고를 전망"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규제지역으로 묶고 거래 시 허가를 득해야 하는 상황이 되며 4분기 거래도 현저히 감소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