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CE 어소시에이트, 90분간 14문항…AI 실무능력 중점 평가

2 weeks ago 9

“내비게이션 주행 데이터를 이용해 도착 시간을 예측해 보세요.”

올해부터 국가공인 민간자격으로 지정된 AICE(에이스·AI Certificate for Everyone) 어소시에이트의 문항 예시다. AICE는 이처럼 기업 실무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 인공지능(AI) 모델을 구축하는 실력을 평가한다. 기업의 AI 활용 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평가받는 것도 실제 현장의 고민을 다루기 때문이다.

AICE 어소시에이트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선으로 표 형식(태뷸러) 데이터를 분석, 처리, 모델링하는 과정을 평가한다. AI의 원리를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하는 프로세스 전체를 경험할 수 있다.

시험은 데이터 사이언스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주피터 랩(jupyter lab) 환경에서 치러진다. 대화형 구조로 돼 있어 파이선 명령어의 결과물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AICE 홈페이지에서 KT의 클라우드 환경을 통해 주피터 랩을 제공한다.

AICE 어소시에이트는 90분 동안 총 14문항을 풀어야 한다. 실제 업무와 동일하게 탐색적 데이터 분석, 데이터 전처리, 머신러닝·딥러닝 모델링, 모델 성능 평가를 순차적으로 해볼 수 있다. 내비게이션 주행 데이터를 활용한 도착 시간 예측 문제에선 출발 시간과 도착 시간, 실주행 시간, 평균 시속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같은 데이터를 분석한 뒤 딥러닝 모델을 구축해 예측을 실행해볼 수 있다.

작년까지는 AICE 어소시에이트 시험을 볼 때 생성형 AI 등을 제외한 인터넷 검색이 허용됐지만 올해부터는 시험지 안에 주어진 7개 사이트만 확인할 수 있다. 넘파이(numpy), 판다스(pandas) 등 파이선 라이브러리 사이트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