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율주행 산업은 정부가 모든 것을 지원하는 국가 차원 비즈니스입니다. ”
이달 중국을 다녀온 국내 자율주행 기술기업 대표는 “중국과 기술 격차가 날로 커지고 있는 상황이 우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중국의 야심이 운전자 없는 '로보택시'로 향하고 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을 넘어 이를 하나의 기술로 융합한 로보택시 분야에서 중국은 세계 1위를 목표로 한다.

중국이 단기간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해 로보택시 상용화에 성공한 배경에는 중앙·지방 정부 주도의 강력한 산업 육성 정책이 있다. 현지 기업은 아낌없는 물적·인적 투자와 규제 타파 등을 발판삼아 2030년까지 로보택시 전환을 계획 중이다.
규제는 과감히 허물었다. 중국 정부는 현재 17개 지역을 자율주행 시범 지구로 지정하고, 6개 대도시에서 로보택시 운행을 허가했다. 50개 이상 지방정부도 규제를 풀어 중앙정부 정책에 호응했다.
또 다른 성장 동력은 보조금이다. 지방정부는 로보택시 기업에 시험주행 단계부터 보조금을 지급하고, 차량 구매와 운행 비용,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우한과 베이징에서 수백대의 로보택시가 운행 중인 비결이다.
중국이 미국을 추격하는 사이 한국에서 로보택시 상용화는 먼 나라 얘기다. 한국은 자동차 산업을 먹거리로 삼고 있지만, 국내 고유의 기술 기업이 서로 경쟁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했다. 법·제도와 보험 등 관련 인프라 역시 미비하다.
자율주행 기술 확보는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정부 차원의 육성 정책없이 기업에만 역할을 전가한다면 한국은 머지않아 미국·중국 등에 자율주행 기술을 의존해야 하는 나라가 될 것이다. 이제라도 과감한 투자로 '메이드 인 코리아' 자율주행 기술 기업을 키우고 세계로 나아갈 길을 열어줘야 한다.
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