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사스러운 잔칫날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우주항공청 개청 1주년을 맞아 올해 처음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5월 27일 '우주항공의 날'이 그 주인공이다.
논란의 시작은 정부가 제1회 우주항공의 날 기념식을 경기도 과천에서 개최하기로 하면서다. 정작 우주항공청이 위치한 경남 사천에서는 소소한 부대행사만 열린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지역 민심이 들끓는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이례적으로 강한 유감의 뜻을 표했다. 정부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종 결정할 사안이지만 재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의회는 기념식을 경남에서 개최할 것을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가결했다.
정부의 결정은 우주항공의 날을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전국 단위로 알리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정부의 장기적인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 계획이 경남(위성), 전남(발사체), 대전(연구·인재개발) 삼각체제로 구상된 만큼 각 지역의 입장을 안배했을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그럼에도 우주항공의 날이 우주항공청 개청일을 기준으로 하는 만큼 우주항공청이 갖는 상징성이 가장 크다는 게 경남도와 사천시의 입장이다.
기념식을 제3의 장소에서 열어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도 아쉬울 판이다. 하물며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지역행사의 부담을 덜어내기 위한 정치적 배경에 따른 결정이라면 우주항공청 또한 소신과 주관, 의지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가뜩이나 지난해 국회에서 발의된 우주항공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안에 우주항공청 연구개발 사업 본부를 대전으로 옮기는 내용이 포함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자칫 본청은 빈 껍데기가 되는 게 아니냐는 지역사회 우려도 적지 않다.
우주항공청은 애초 우리나라 우주항공산업 정책을 총괄하는 행정기구를 표방하며 출범했다. 프랑스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성공 모델인 톨루즈와 같은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의 중심축이기도 하다.
아직은 임시청사에 머물고 있지만 2030년 준공 예정인 본청사 입지를 지난 2월 확정한 만큼 이제 시작이나 다름없다. 우주항공청 개청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열망에 힘입은 우주항공의 날 지정 의미를 되새길 때다.
노동균 기자 defros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