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CI·블랙스톤 만난 김병환 위원장 “한국 금융시장 견조”

2 weeks ago 2
김병환 금융위원장(오른쪽)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블랙스톤을 찾아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과 면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김병환 금융위원장(오른쪽)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블랙스톤을 찾아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과 면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2일 미국 뉴욕에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최고위급과 면한 자리에서 “향후 선진국 지수 편입 심사시 외국인 투자자의 한국 자본·외환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그간 한국 정부가 추진해온 정책 노력을 정당히 평가해달라”고 당부했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면담에서 “불확실한 여건 속에서도 한국 금융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시장 주요 벤치마크 지수인 MSCI 지수는 세계 지수를 경제 규모와 개방성 등 기준에 따라 선진국, 신흥국, 프런티어 시장으로 구분한다. MSCI는 지난해 6월 한국을 신흥국 시장으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지난 2023년 10월 단행된) 공매도 금지 조치로 인해 시장 접근성이 제한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위는 한국시장이 조만간 MSCI선진국지수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편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지수 편입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에 1년 이상 올라야 한다.

김 위원장은 또 이번 미국 출장길에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인 블랙스톤 스티븐 슈워츠먼 회장을 만나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에도 한국 금융시장이 안정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통상환경 변화에서 한국 정부의 대응 노력을 설명하고, 향후 한·미 간 긴밀한 공조가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금융위는 전했다.

김 위원장과 슈워츠먼 회장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와 상대국가 대응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경기위축 우려 등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앞으로도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도 공감했다.

슈워츠먼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경제 정책을 조언하는 '전략정책포럼' 위원장을 지내서 경제·금융 가정교사로 불린다. 과거 트럼프 정부가 중국, 캐나다 등과 무역 협상을 할 때 중간 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 위원장은 슈워츠먼 회장에게 “한국이 최근 발생한 정치적 불확실성을 헌법에서 정한 원칙과 절차에 따라 질서 있게 해소해나가는 중으로, 한국 민주주의가 성숙하고 회복력이 높다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슈워츠먼 회장은 “블랙스톤의 한국시장 진출에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앞서 21일에는 미국 보스톤 바이오클러스터를 찾아 “향후 첨단전략산업기금 등을 통해 바이오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1일 보스톤 바이오클러스터에서 현지 투자사·바이오 기업과 간담회에서 “2021~2022년 중 정점이었던 한국의 벤처투자 규모가 글로벌 고금리 영향 등으로 위축되고 있다”면서 “특히, 고위험으로 지속적 투자가 필요한 바이오 부문에서 변동성이 컸다”고 평가한 후 이 같이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