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호관세 보복 美 틱톡인수 반대…트럼프, 틱톡금지 유예

4 week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국 정부의 반대에 따라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이 유예되었으며, 이는 미국이 부과한 54%의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여겨진다.

바이트댄스는 미국 정부와 매각 협상을 진행 중임을 인정했지만, 아직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 마감일을 추가로 75일 연장하며, 중국에 관세 인하를 제안하는 등 협력을 희망하는 입장을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5일 마감까지 불발에 75일 연장
트럼프, 中관세인하 의향 밝혀

지난해 캘리포니아주 컬버시티에 위치한 틱톡 미국 본사 건물 위에 간판이 걸려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해 캘리포니아주 컬버시티에 위치한 틱톡 미국 본사 건물 위에 간판이 걸려 있다. <AP 연합뉴스>

중국 정부의 반대에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이 유예됐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54%의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보복이 이유로 꼽힌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바이트댄스의 협상단이 중국 정부가 상호관세에 대한 협상 전까지 틱톡 매각을 불허할 것이라 말했다고 보도했다. 틱톡은 중국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이다.

바이트댄스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와 현지 사업권 매각을 협상 중이라고 처음으로 시인했다. 이어 “아직 어떠한 합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해 이른바 틱톡금지법을 제정해 틱톡 미국 사업권의 매각을 추진해왔다. 중국 정부가 틱톡과 바이트댄스를 통해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탈취한다는 이유에서다. 바이트댄스의 틱톡 미국 사업 지분율을 20% 미만으로 낮추지 않으면, 틱톡은 미국에서 서비스가 금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이 결렬되자 매각 마감일을 지난 5일에서 추가로 75일 유예했다. 지난 1월 유예 이후 두 번째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위가 법의 수권을 벗어났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틱톡금지법은 대통령에게 최대 90일의 일회성 연장 권한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틱톡 매각을 위해 중국에 관세 인하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중국과 선의로 계속 협력하기를 바란다”며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과 협력해 거래를 마무리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