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22와 ‘각진 노즐’ 외형 유사
차세대 전투기 발전 역량 과시
                                    
                    
                
최근 중화권 소셜미디어에는 신형 6세대 전투기인 ‘J-36’이 상공을 날고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 돌고 있다. 사진에서 J-36엔 꼬리 수평 날개가 없고, 3개의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말 처음 공개됐을 때와 비교했을 때 배기·분출 장치인 첫 번째 노즐이 오목한 모양에서 각진 형태로 바뀐 두 번째 시제기로 추정된다고 SCMP는 전했다. 이런 형태는 미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22와 유사하다. 각진 노즐은 특정 비행 단계에서 안정성과 기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에서 J-36은 기체 위쪽에 1개, 아래쪽에 2개의 공기 흡입구를 갖춘 삼중 엔진 구조다. SCMP는 “불과 10개월 만에 시제기에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났고, 이는 실제 양산을 위한 연구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고 평가했다.J-36은 중국 군용기 제작사 청두항공기공업그룹(CAC)이 제작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올 4월 초 지면과 가까이 비행 중인 J-36의 모습이 포착됐고, 6월에는 CAC의 쓰촨성 공장 활주로에 서 있는 모습이 정면에서 찍혔다. 당시 총 3개의 무장창에 공대공 미사일 12발을 탑재할 수 있을 거라는 분석이 나왔다. 각각 4∼6발의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미국의 F-22, F-35 전투기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
중국은 J-36과 비슷하거나 성능이 더 뛰어난 또 다른 6세대 전투기 J-50도 개발 중이다. SCMP는 “J-36, J-50은 이르면 2031년 1월 실전에 투입될 수 있고, 미국의 6세대 전투기보다 수년 앞당겨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은 2014년부터 6세대 전투기를 개발했지만, 비용 문제로 지난해 7월 관련 사업을 일시 중단했다. 하지만 올 3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보잉이 차세대 전투기인 F-47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8 hours ago
                        2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