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경제 역성장 충격에도 장 초반 약세를 만회하며 거래를 마쳤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1.74포인트(0.35%) 오른 4만669.36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8.23포인트(0.15%) 상승한 5569.06, 나스닥 지수는 14.98포인트(0.09%) 밀린 1만7446.34에 장을 마쳤다.
미 상무부는 이날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속보치)이 -0.3%(직전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시행을 앞두고 수입이 급증한 게 역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 경제가 분기 기준으로 역성장한 것은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이다.
역성장 쇼크에 주요 주가지수는 하락 출발했지만,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민간지출(국내 민간구매자에 대한 최종 판매) 증가율이 3.0%로 견조한 흐름을 보인 것이 호재가 돼 낙폭을 상당 부분 만회하면서 장을 마쳤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주가를 밀어 올렸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약세를 보였다. 아마존 1% 이상, 테슬라 3% 이상 떨어졌다. 전날 장 마감 후 기대에 못 미친 1분기 실적을 공개한 스타벅스 주가는 5% 이상 밀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마이너스 성장률 소식 및 개장 초 증시 약세에 대해 "이것은 바이든의 주식시장이지, 트럼프의 것이 아니다"라며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번영이 시작되면 이전에 없던 수준이 될 것"이라며 "인내심을 가지라"고 덧붙였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