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기후대응이 미래"…경제전환 속도낸다

4 weeks ago 1

경기도 "기후대응이 미래"…경제전환 속도낸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산업 구조를 바꾸는 ‘기후경제 전환’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기후 위기에 선제 대응하는 데 실패하면 국가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기후보험’을 도입하고 기후 플랫폼을 조성하며 위성을 발사하는 등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혁신 프로젝트에 나선 배경이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에서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실험을 하고 있다. 대표 사례가 기후보험이다. 올해 4월 출범한 경기 기후보험은 전국 최초로 모든 도민이 자동 가입되는 보편적 기후 안전망이다. 온열질환, 한랭질환, 특정 감염병, 기후재해 상해를 정액 보장한다. 취약계층은 교통비와 입원비, 이·후송비까지 추가로 지원받는다. 시행 넉 달 만에 지급 건수가 2358건에 달했다. 이 중 82%가 취약계층이었다

7월에는 ‘경기 기후 플랫폼’(사진)을 열었다. 위성, 라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후·환경 데이터를 통합한 플랫폼이다. 도민은 자택 태양광 설치의 경제성을 확인하고, 기업은 탄소 회계와 에너지 진단 보고서를 자동으로 받을 수 있다. 플랫폼은 산사태·호우·폭염 위험도를 지도에 시각화해 재난 대응까지 지원한다.

경기도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초소형 기후 위성 3기를 발사한다. 광학 위성 1기와 온실가스 관측 위성 2기다. 배출원을 실시간 추적하고 맞춤형 정책 수립과 재난 대응에 활용한다.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도는 기업 산단 태양광에 4조원을 투자 유치했고, 삼성전자와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공공기관 RE100 목표도 달성했다. 도민 참여형 햇빛발전소를 통해 3만3000명이 배당금을 받았다.

기후테크 육성도 병행한다. 경기도는 2026년까지 100개 스타트업을 키운다. 전기·수소차, 배터리, 자원순환, 대체 식품, 데이터 기반 재해 예측 등 다섯 분야가 대상이다. 액셀러레이팅, 연구개발 투자, 글로벌 협력으로 산업 기반을 다진다.

김 지사는 올해 2월 경기 여주 위성센터에서 열린 행사에서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원 이상 투자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 △기후경제부 신설 등을 포함한 기후경제 거버넌스 구축 등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기후 위기가 곧 경제 위기”라며 “대응에 실패하면 매년 성장률이 0.3%포인트씩 낮아질 것”이라는 한국은행 보고서를 인용했다.

경기=정진욱 기자 crocu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