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앞서 미리 수입…3월 미국 내 스마트폰 출하 30% 급증

2 hours ago 1

 사진=AFP

사진=AFP

미국내 스마트폰 출하량이 3월에 30%나 급증했다. 높아질 수입 관세를 예상하고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수입을 앞당긴 영향이다.

14일(현지시간)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수입을 앞당기면서 3월중 미국내 스마트폰 출하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3월중 애플의 유통업체 및 소매업체 대상 매출은 42% 증가했고, 레노버가 소유한 모토롤라는 인도에서의 수입을 거의 3배나 늘렸다. 삼성의 유통업체와 소매 업체에 대한 매출은 4% 증가했다. 삼성은 미국 내수용 스마트폰의 일부를 미국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인도의 아이폰 공급업체인 폭스콘과 타타 일렉트로닉스에서 3월에만 20억달러(2조 8,000억원) 상당의 아이폰을 비행기 등으로 공수해왔다.

인도의 미국에 대한 스마트폰 수출은 1분기 전체 출하량의 26%를 차지했다. 1년전 16%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관세로 가격이 크게 오를 경우 판매 감소에 대비해 충분히 재고를 쌓아두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중국에 치중한 공급망을 다각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인도와 베트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애플은 3월부터 인도내 생산량을 늘리면서 인도 출하량이 크게 증가했다. 이 회사는 6월 분기에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대부분이 인도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수석 분석가인 게릿 슈네만은 “3월과 4월초에 확보한 물량으로 여름 중반에서 후반까지는 아이폰 가격을 올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이폰17이 출시될 때까지 중국과의 관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이폰17도 인도에서 주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