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직격탄 맞은 K철강…5700억 금융지원해 ‘철근’부터 사업재편

6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와 국내 과잉생산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업계를 위해 5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과 생산설비 규모 조정을 시행하기로 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철강 관세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4000억원 규모의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을 신설하며, 지난 9월 발표된 1700억원 규모의 추가 지원책에 이어 지원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구 부총리는 석유화학업계에 사업 재편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체할 경우 정부의 지원이 어려워질 수 있음을 경고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4천억 보증 프로그램 신설
철근 중심으로 설비규모 조정

구윤철 석화업계에 경고장
“사업재편 진정성에 의구심”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철강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 업무협약식 및 철강업계 CEO 간담회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철강수출공급망강화 보증상품 업무협약식 및 철강업계 CEO 간담회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정부가 미국의 관세 부과와 국내 과잉생산에 따라 경영난에 빠진 철강업계를 대상으로 5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과 함께 생산설비 규모 조정을 시행한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철강 관세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4000억원 규모의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을 추가로 신설해 총 5700억원의 금융 지원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와 IBK기업은행이 총 200억원을 출연하면 이를 바탕으로 한국무역보험공사가 4000억원 규모의 우대 보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사진설명

앞서 정부는 9월 초 미국 관세협상 후속 지원책으로 철강 분야에 17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책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은 지난 6월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 제품에 50%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번 한미 관세협상에 철강 분야는 포함되지 않았다.

산업통상부는 철근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자발적 사업 재편을 하도록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한편 구 부총리는 이날 석유화학업계를 향해선 구두 경고장을 날렸다. 그는 “일부 산업단지와 기업의 사업 재편이 여전히 지지부진해 업계 진정성에 시장의 의구심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업계가 이번 골든타임을 허비한다면 정부와 채권금융기관도 조력자로만 남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배가 기울 때 자기 짐만 지키려다 결국 침몰을 막지 못하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며 “먼저 사업 재편을 추진하는 산단·기업에는 더 빠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POSCO홀딩스

    005490, KOSPI

    312,500 + 0.32%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