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배수용량 키우고 청소도구함 설치 등 폭우대책 강화

10 hours ago 1

기록적인 폭우에 침수피해를 입은 광주 북구 신안교 주변 주택에서 광주지역 사회봉사단체들이 무더위에 땀을 흘리며 복구 작업 자원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기록적인 폭우에 침수피해를 입은 광주 북구 신안교 주변 주택에서 광주지역 사회봉사단체들이 무더위에 땀을 흘리며 복구 작업 자원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광주에 하루 동안 420㎜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피해가 1300건 이상 발생하자, 광주시는 배수용량 확대와 배수구 청소도구함 설치 확대 등 폭우 대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대응뿐 아니라 시민들의 공동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광주시에 따르면 16일부터 20일까지 광주에는 총 536.1㎜의 비가 내렸고, 이로 인한 재산 피해 신고는 총 1311건에 달했다. 피해 유형은 △도로 침수 447건 △도로 파손 263건 △차량 침수 124건 △경사지 붕괴 62건 △수목 전도 54건 △기타 101건 등이다. 피해 대부분은 하루 동안 426.4㎜가 쏟아진 17일에 집중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집계는 신고와 응급복구를 기반으로 한 잠정 수치로, 실태조사가 완료되면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기록적인 폭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광주 북구 신안교 인근 주택에서 광주 지역 사회봉사단체 회원들이 무더위 속에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기록적인 폭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광주 북구 신안교 인근 주택에서 광주 지역 사회봉사단체 회원들이 무더위 속에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폭우로 광주 내 상습 침수 지역도 어김없이 물에 잠겼다. 광주에는 침수 우려 도로 31곳, 홍수 취약지구 19곳 등 상습 침수지역이 총 50곳 있다. 이번에 피해를 입은 북구 신안교, 남구 백운광장 등도 이에 포함된다.신안교 일대 주민들은 “차수벽 등 침수 예방시설이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고, 백운광장 주민들은 “몇 년마다 침수가 반복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신안교의 경우 복개하천인 서방천의 폭을 1.5배 이상 넓히는 등 근본적인 치수 대책이 필요하고, 백운광장은 지하철 2호선 공사가 마무리돼야 피해가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광주시는 앞으로 시간당 88㎜의 강우를 감당할 수 있도록 배수관과 저류시설 등을 확대·정비할 계획이다. 다만 도심 하천 여건과 예산 문제로 이 목표 달성 시기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0일 신안교 등 피해 현장을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광주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강 시장은 신안교 저지대 침수 방지를 위한 신안철교 재가설과 서방천 하천 폭 확대 등 항구적인 폭우 대책 마련과 함께 국가 차원의 재정 지원도 건의했다. 그는 “기후위기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자연재난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항구적인 개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피해 대응에는 시민 참여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의 재산 피해 1311건 중 172건(13%)은 배수불량에 따른 것으로, 대부분 배수구가 쓰레기로 막힌 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는 최근 한 달 동안 저지대 배수구 중심으로 정비를 해왔지만, 기록적인 폭우로 도심 전역에서 쓰레기가 배수구로 밀려들었다. 시 관계자는 “침수 피해 상당수가 배수구를 덮은 쓰레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배수구 주변에 시민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청소도구함 25개를 설치해왔다. 폭우 시 시민들이 청소도구함을 활용해 배수구를 정비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응책으로 제시된다.

전남 지역도 큰 피해를 입었다. 도로·제방 등 공공시설 파손 366건, 주택 침수 572건, 가축 폐사 29만 마리, 농경지 침수 7764㏊ 등이 보고됐다.

류용욱 전남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17일 광주에 내린 비는 기상이변 수준의 폭우였다”며 “행정기관은 저류지 설치 등 배수 용량을 키우고, 시민들도 배수구 청소 등 일상적인 노력에 나서야 민관이 함께 재난에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