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최근 실적과 무관하게 과열 양상을 보여온 ‘정치 테마’ 종목 관련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이달부터 7월 말까지를 ‘정치테마주 집중 제보 기간’으로 지정하고 조사국 내 특별단속반을 확대 운영한다고 1일 발표했다. 최근 이상 급등했거나 대주주 대량 매도, 대규모 전환사채(CB) 전환 등이 이뤄진 종목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불공정거래 제보자에게는 최대 30억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금감원이 정치테마주로 분류한 종목은 모두 60개다. 금감원 관계자는 “선거철 초기에는 단순한 학연·지연·혈연 등 유력 정치인과 관련한 인물 관련주를 중심으로 주가가 급등락한다”며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공약과 관련한 정책 관련주의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어 이들 종목을 집중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치테마주 종목은 대부분 취약한 재무구조에 비해 주가가 크게 고평가돼 있다고 금감원은 경고했다. 금감원이 분류한 정치테마주 가운데 절반가량의 이자보상비율은 1 미만이다.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라는 뜻이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이자보상비율 평균은 5.88, 코스닥시장은 2.19다. 통상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보다 낮은 기업은 한계기업으로 분류한다. 그런데도 정치테마주의 평균 주가자산비율(PBR)은 지난달 22일 기준 2.3배로 시장 평균의 두 배를 웃돌고 있다.
주가 변동성이 과도해 투자했다가 큰 손실을 볼 위험도 크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해 12월 3일 이후 정치테마주 60개 종목은 하루에 평균 18.1% 급등하거나 6.5% 급락했다. 이들 종목의 하루평균 주가 등락률은 3%로 코스피지수의 세 배에 달했다. 금감원은 “단기간에 투기성 자금이 몰리는 만큼 개인투자자가 진입 시기를 잘못 잡았다가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