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부동산 시장 회복이 지연되면서 국내 금융사들이 기존에 진행한 해외 대체투자에서 기한이익상실(EOD)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금융권 EOD 규모가 2조6400억원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EOD 규모는 2023년 △6월 1조3300억원 △9월 2조3100억원 △12월 2조4100억원에 이어 2024년에도 △3월 2조5000억원 △6월 2조6100억원 등 상승세다.
EOD 자산에 대한 손실 인식으로 전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금융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잔액중 약 37%는 해외 오피스 투자 건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지난 2023년 하반기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서 재택근무가 정착되고, 고금리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금융사 투자자산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금융권 총자산의 0.8%에 불과하고 손실흡수능력 감안시 위기 전이 가능성은 낮지만,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이에 손실확대 가능성이 있는 투자에 대해서는 부실화 진행 정도에 따른 맞춤형 건전성 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다.
오는 9월 예정된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대체투자 펀드 자산에 대해 외부 전문기관의 주기적 평가를 진행하는 등 방식으로 적정 손실 인식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 투자관리 역량 확보 하에서 대체투자가 이뤄지도록 업권별 리스크관리 모범규준 개정을 조속히 마무리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체투자 현황 및 리스크 요인을 매분기 점검하고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며 “특이동향 발생시 부실 자산에 대해 적정한 손실인식과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혁 기자 s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