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AI가 혁신하는 공공 서비스와 행정의 미래

3 weeks ago 6
론 슈멜처 PMI Cognilytica 글로벌 헤드 겸 AI 파트너십 디렉터론 슈멜처 PMI Cognilytica 글로벌 헤드 겸 AI 파트너십 디렉터

정부는 자원 부족 속에서 어떻게 필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은 공중 보건, 공공 안전, 사회 복지 등 다양한 정부 기능을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다. 관료적 비효율성이 만연한 공공 부문조차 AI를 통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는 추가 예산이나 인력 없이도 필요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다. AI는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영역에 지능을 불어넣으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미국 정부는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문서 처리, 데이터 입력 등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해 관료주의적 비효율을 줄이고, AI 기반 챗봇을 통해 시민들이 24시간 편리하게 정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AI는 사기 탐지 및 재정 감독을 강화해 세금 징수 효율성을 높이고 복지 혜택의 부정 수급을 방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법률 문서 분석과 법원 사건 관리 등 사법 시스템에도 AI를 도입해 공정한 재판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AI를 활용해 사회 기반 시설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교량, 도로 등의 안전을 모니터링하고 예측 유지 보수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며,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재난 발생 시에는 AI가 신속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자원을 배분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력은 정부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2030년까지 공공 부문 AI 도입률 95%라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18개 주요 분야에서 시민 중심의 AI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국민들의 삶을 개선하고 행정 효율성을 극대화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AI 도입은 기술적 혜택만큼이나 다양한 과제를 동반한다. 데이터 프라이버시, AI 알고리즘의 편향성, 기술 도입에 대한 저항 등이 대표적이다. 공공 데이터를 AI에 활용할 때 개인 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다. 또 AI 알고리즘이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할 경우 공정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공무원 및 시민들 사이에서 AI 도입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AI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강력한 데이터 보호 정책과 암호화 기술을 통해 데이터 유출 및 오남용을 방지해야 한다. 둘째, 공정성 검토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지속적인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AI 편향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 AI 활용 교육과 AI 윤리 가이드라인 수립을 통해 AI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넷째, AI 정책과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해 AI 활용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섯째, AI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강화하고, 정부 기관 내 AI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체계적인 프로젝트 역량과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명확한 목표 설정, 리스크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자원 최적화를 통합한 전문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이 AI 도입 성공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AI는 공공 서비스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론 슈멜처 PMI Cognilytica 글로벌 헤드 겸 AI 파트너십 디렉터 rschmelzer@cognilytica.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