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증가로 소비성향 하락…20년간 3.6%P 떨어져

2 weeks ago 3
김미루 KDI 연구위원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KDI 제공]김미루 KDI 연구위원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KDI 제공]

기대수명의 증가로 노후 대비를 위한 저축이 늘어나면서 소비 성향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3일 발표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4년부터 2024년까지 20년간 평균 소비성향은 52.1%에서 48.5%로 3.6%포인트(P)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민간소비를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비율이다. 이 기간 기대수명은 77.8세애서 84.3세로 6.5세 늘었다.

KDI는 이 기간 기대수명의 증가는 평균소비성향 하락치 중 3.1%P를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다.

평균소비성향의 하락은 민간소비가 경제성장률을 하회하는 추세가 만들어진 주요 원인으로 직용했다. 지난 20년간 연평균 민간소비 증가율은 3.0%로 같은 기간 GDP 연평균 성장률 4.1%를 하회한다.

소비성향이 줄어드는 것은 은퇴 후를 대비한 저축 동기가 커지는 것과 연관이 있다. 생애 주직장 퇴직 연령에 큰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퇴직 후 소득이 낮고 불안정한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에 대비해 저축 성향이 커지는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고령화로 50~60대 가구의 비중이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소비성향도 줄어들었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50~60대 가구 비중이 증가하면서 전체 평균소비성향 하락치의 절반 가량을 기여했다. 교육비 지출로 평균소비성향이 높은 30~40대 가구 감소도 평균소비성향 하락 요인으로 지목됐다.

향후 기대수명 증가세가 둔화하고 자산을 축적한 고령층 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소비성향은 다시 증가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보고서는 “2030년대 중반부터 소비성향이 점차 반등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에 따라 민간소비 증가세가 경제성장률을 하회하는 현상도 점차 완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평균소비성향 하락에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투영된 만큼 대응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경직적 임금구조를 개선하고 직무와 성과 중심 임금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방법으로 고령층 노동 수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