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정신 및 벤처창업 분야 학계 전문가들이 더불어민주당에 글로벌 인공지능(AI) 제조강국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전달했다. 신성장 육성을 위한 전략적 벤처투자생태계 조성부터 지역거점별 AI 제조혁신 공급망 구축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기업가정신학회와 벤처창업학회, 더불어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언주 의원)는 지난 2일 국회의원회관 제11간담회의실에서 '글로벌 AI제조강국을 위한 새정부 중소벤처 정책과제'를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학문적 관점에서 지역거점별 신산업 AI 제조혁신 공급망 구축 △신산업 육성 전략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 △첨단산업 초거대 스타트업 육성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기술사업화 등 정책 방향이 논의됐다.
첫 발제를 맡은 정종석 GIP전략연구소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제력 및 혁신역량 격차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해서는 AI를 활용한 지역 주력산업 고도화와 제조혁신을 본격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실행 과제로 비수도권에 AI 기술과 지역의 10대 미래 먹거리 산업(AI·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을 융합해 혁신 제조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형구 한양대 교수는 정책금융을 지분연계형 구조로 재설계해 회수 수익을 후속 투자에 재투입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어 전성민 가천대 교수는 초거대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책은 제안했다. 금융 및 기술적 환경 강화를 위해 포스트 팁스, 딥테크 팁스, R&D 지원 확대, M&A 활성화, AI 기술 도입 촉진 및 관련 투자 확대 등 '잘될 만한 스타트업' 분야에 집중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상문 강원대 교수는 수요 관점 사업화 촉진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생태계 활성화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의 좌장을 맡은 이병헌 광운대 교수는 “한국 경제가 직면한 저성장과 양극화라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주체는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이라며 “차기 정부 경제정책의 성패는 이들의 혁신 활동을 얼마만큼 끌어올릴 수 있는가에 달려 있어 정부가 적극적인 투자로 혁신의 리스크를 분담해야 민간의 벤처 투자도 활성화될 수 있다”고 세미나를 정리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