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 연구와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생성형 AI를 포함한 5대 세부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 |
(사진=연합뉴스) |
박금철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은 22일 네이버의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AI 및 데이터센터 세제지원 관련 관계 기업 및 전문가를 초청해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국정과제인 ‘AI 3대 강국 도약’을 뒷받침하기 위한 세제지원 방안에 대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와 전문가들의 조언을 청취·공유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박 세제실장은 “생성형 AI 등 5개 세부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해당 서비스 제공을 위한 AI 데이터센터를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지정 추진 중이며, 관련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앞으로도 업계 전문가들과 소통 등을 통해 관련 제도를 지속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참석자들은 AI 및 데이터센터에 대한 국가전략기술 지정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표명했으며, AI가 새로운 성격의 서비스 산업인 점 등을 감안해 지속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부는 간담회에서 건의된 내용을 조세정책에 참고하고, 업계 및 전문가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추진하여 향후 AI 및 데이터센터 세제지원 제도를 통해 AI 혁신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