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논란’ 의혹을 받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기회를 주셨던 이재명 대통령님께 한없이 죄송하다”며 자진 사퇴하자 국민의힘 보좌진들이 “사과의 대상은 대통령실이 아닌 피해 보좌진들이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국보협)은 23일 논평을 통해 “사퇴 순간까지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자리를 지켰던 보좌진들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는 끝내 없었다”며 “고통을 감내해야 했던 피해 보좌진들과 상실감에 자괴감을 느꼈을 모든 보좌진에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국보협은 이어 “논란의 당사자가 가장 먼저 언급한 대상이 피해자가 아닌 대통령이었다는 점에서 대단히 유감”이라며 “‘갑질 변호인’을 자처했던 일부 민주당 의원들도 자신들의 부적절한 발언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 “이번 사퇴는 끝이 아니라 변화의 시작이어야 한다”며 “가장 가까운 동료조차 존중하지 못한다면 ‘국민을 위한다’는 구호는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번 사안을 외부로 알린 보좌진들을 향해 ‘제보자 색출’ 같은 추가적인 가해가 시도된다면 이를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강 후보자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올려 “그동안 저로 인해 마음 아프셨을 국민께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며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잘해 보고 싶었으나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저를 믿어주시고 기회를 주셨던 이재명 대통령님께도 한없이 죄송한 마음뿐”이라며 “함께 비를 맞아줬던 사랑하는 우리 민주당에도 제가 큰 부담을 지워드렸다”고 언급했다.
또 “이 순간까지도 진심으로 응원해 주시고 아껴주시는 모든 분의 마음을 귀하게 간직하겠다”며 “큰 채찍 감사히 받아들여 성찰하며 살아가겠다”고 했다.
앞서 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보좌관 갑질 의혹이 제기됐으며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거짓말을 했다는 논란까지 불거졌다. 여기에 더해 이른바 ‘예산 갑질’ 주장도 나오는 등 논란이 확산됐다.
이에 야당인 국민의힘은 물론 진보 정당과 친여권 시민사회까지 사퇴 요구가 계속됐다.
이처럼 강 후보자를 둘러싼 비판과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자 강 후보자는 이대통령이 지난달 23일 여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지 30일 만인 이날 사퇴 결정을 내렸다.
2005년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이후 현역 국회의원 낙마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로는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두 번째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대통령실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조속히 찾겠다”며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를 찾기 위해 조금 더 철저한 노력을 해야하지 않나 살펴볼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