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녹조에 경남 비상…수돗물 안전 총력전

4 weeks ago 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남도가 폭염으로 인해 낙동강의 녹조 확산에 따라 비상대응 체계에 돌입했으며, 모든 조류경보지점에 경보가 발령 중이다.

도는 오염원 차단과 녹조 제거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해 공장과 축사에 대한 특별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정수 처리 과정에서 고도정수처리를 실시하며,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폭염에 물금·매리 ‘경계’…칠서도 상향 예상
道, 오염원 특별점검·대형 제거선 투입해 확산 차단
고도정수처리·AI 정수장 도입 등 수돗물 안전망 강화

최근 경남 양산시 물금읍 낙동강 물금선착장 주변 강물이 녹조로 초록빛을 띠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경남 양산시 물금읍 낙동강 물금선착장 주변 강물이 녹조로 초록빛을 띠고 있다. /연합뉴스/

경남도가 폭염으로 인해 낙동강 녹조가 확산되면서 비상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25일 경남도에 따르면 도내 모든 조류경보지점에 경보가 발령중이다. 또 양산시 물금·매리지점은 지난주에는 ‘관심’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됐다.

이번주에는 함안군 칠서지점도 ‘경계’ 단계로 격상될 전망이다. 조류 경보는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발령 기준을 2주 연속으로 초과하면 발령된다. 세포 수가 ㎖당 1천 개 이상이면 ‘관심’, 1만 개 이상이면 ‘경계’, 100만 개 이상이면 ‘대발생’ 단계로 구분된다.

이에 도는 수질오염원 수질오염원 차단과 녹조 제거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낙동강에 직접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과 축사, 개인하수처리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확대해 시설별로 최대 주 1회 이상 점검을 실시한다.

시·군에서 운영하는 하·폐수처리장은 총인(T-P) 방류 농도를 법정 기준보다 최대 80% 강화한 비상 저감 조치를 시행해 오염도를 낮추고 있다.

현장 대응도 강화하고 있다. 합천창녕보, 칠서취수장, 창녕함안보, 물금·매리 등에는 대형 녹조 제거선이 배치돼 가동 중이다.

댐과 보, 하굿둑을 연계 운영해 방류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녹조 세포 수를 줄이는 대응도 병행한다. 지난해까지는 관련 절차에 6일이 걸렸지만 올해는 3일로 단축돼 신속한 연계 운영이 가능해졌다.

도는 녹조 확산에도 도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정수장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취수 단계에서는 조류차단막과 살수장치, 수면교란장치를 가동해 조류 유입을 막고 있다. 정수 단계에서는 오존·염소 주입, 응집·침전 강화, 활성탄 여과 등 고도정수처리를 집중하고 있다.

원수와 정수에 대한 조류독소, 냄새물질 검사는 주 3회로 늘려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현재까지 정수된 수돗물에서 독소가 검출된 사례는 없다.

경남도는 도내 50개 정수장을 대상으로 올해 5회 이상 점검과 모의훈련을 실시해 대응 역량을 높였다. 이와 함께 ‘우리집 수돗물 수질검사 서비스’ 확대, 정수장 위생안전 인증제 취득, 수질 모니터링 강화 등으로 안전성을 보강했다.

지방상수도 비상공급망 구축, 소형생물 대응체계 마련, 인공지능(AI) 정수장 도입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김용만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은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은 도민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녹조 대응과 함께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수질 안전 정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