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분당 시범, 재건축 계획 최초 수립···49층, 6000가구로

8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서 1기 신도시 재건축의 첫 사례로 시범단지 우성·현대와 장안타운건영3차 아파트가 특별정비계획 수립 절차에 돌입했다.

한국자산신탁은 이들 아파트를 최고 49층, 약 6000가구 규모로 재건축할 계획을 세우고 성남시에 자문 신청을 마쳤다.

재건축 속도가 높아지고 있는 이 지역은 공공기여에 대한 우려와 함께 주민들의 부담금 축소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1기신도시 가운데 가장 빨라
입지 비슷하고 소형평형 적어
“재건축 사업성 좋아 속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시범단지 현대아파트 전경 [사진출처=한국자산신탁]

경기 성남시 분당구 시범단지 현대아파트 전경 [사진출처=한국자산신탁]

경기 성남시 분당구 시범단지 우성·현대와 장안타운건영3차 아파트가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가운데 최초로 특별정비계획 수립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1기 신도시 가운데 사업성이 가장 좋은 분당 선도지구가 재건축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한국자산신탁은 18일 시범단지 우성·현대와 장안타운건영3차 아파트에 대한 특별정비계획 초안을 마련해 성남시에 자문 신청을 넣었다고 밝혔다. 한국자산신탁은 지난달 ‘더 시범 통합구역’으로 불리는 이 단지들의 재건축을 이끄는 예비사업시행자로 선정된 바 있다.

계획안에는 더 시범 통합구역을 최고 49층, 6000가구 안팎으로 재건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3개 단지 가구 수(3713가구)보다 약 60% 늘어나는 셈이다. 재건축 사업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 중 하나인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면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덕분이다. 현황 용적률이 시범우성 191%, 시범현대 194%, 장안타운건영3차 97% 수준이다.

재건축 이후 용적률은 350% 안팎을 적용했다. 인근 공인중개소 대표는 “시범단지는 다른 구역에 비해 소형 평형이 적고 대지지분이 17~20평으로 높은 편”이라며 “단지별 입지도 비슷해 빠르게 가는 듯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빠른 재건축 기대감에 6.27 대출규제 직전까진 시범우성·현대 아파트에선 평형별로 신고가가 속출하기도 했다. 지난달 시범현대 전용면적 84㎡는 18억원, 전용 129㎡는 21억 7000만원에 각각 최고가를 경신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시범단지 우성·현대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한국자산신탁]

경기 성남시 분당구 시범단지 우성·현대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한국자산신탁]

1기 신도시(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에서 가장 먼저 재건축을 추진하는 선도지구 15곳 가운데 재건축 계획을 짜는 단계에 이른 건 더 시범 통합구역이 처음이다. 학교 이전 문제가 발목을 잡지 않게 분당초와 서현중도 그대로 존치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짰다. 대상지 재건축 큰 그림은 서울 서초구 반포 대장 단지인 래미안 원베일리와 아크로리버파크 설계를 맡은 ANU건축이 그렸다.

성남시도 지난 16일 자문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재심의 결정이 내려지면 다시 심의를 받기까지 수개월이 소요된다. 이를 막기 위해 사전에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최대한 한 번에 심의가 통과되도록 조율하는 것이다.

다만 변수는 높은 공공기여다. 분당 1차 선도지구 지정 단지들은 지난해 선도지구로 뽑히기 위해 성남시의 여러 공공기여 요구에 응한 바 있다. 대지면적의 5%가량을 금전으로 납부하는 등이다. 주민들은 장수명 주택 최우수 등급 시공, 전체 가구 수의 12%를 이주주택으로 제공 등의 항목에도 동의했다.

그러나 공사비가 연일 오르는 상황이라 이대로 재건축이 추진되면 가구당 분담금 부담이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많다. 선도지구 주민들은 이에 성남시에 공공기여금 축소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가 수도권 공급 확대 정책을 고심하고 있고 내년에 지방선거가 있어 관련 요구가 어느정도 반영될지 주목된다.

다른 분당 1차 선도지구들도 재건축 사업을 이끌 예비사업시행자 지정을 완료한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소유한 단지로 유명한 양지마을은 한국토지신탁을, 샛별마을은 하나자산신탁을 각각 예비사업시행자로 지정했다. 연립주택 단지인 목련마을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공공방식 재건축을 추진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