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덥고 답답해서 또 뒤척인 당신에게…열대야 꿀잠 비법”

10 hours ago 2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연일 이어지는 폭염 속, 밤에도 식지 않는 열기로 수면이 위협받고 있다. 에어컨을 밤새 켜도, 찬물 샤워를 해도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수면 전문가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열대야 속 숙면의 핵심은 ‘체온 조절’”이라고 강조했다.

■ 열대야는 ‘밤기온’보다 ‘지속’의 문제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열대야는 낮 최고기온이 30도 이상이면서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상태가 이어질 때를 말한다.신 교수는 “열대야는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생소한 개념”이라며 “일본의 한 기상학자가 여름철 밤잠을 설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용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 열대야가 본격적으로 관측된 것은 1980년대부터다. 당시 연평균 열대야 일수는 4일이 채 되지 않았으나, 최근 기후변화로 급격히 증가해 지난해에는 11~12일간 지속되기도 했다.

■ 잠 못 드는 진짜 이유 : 떨어지지 않는 ‘체온’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사람이 잠들려면 체온이 평소보다 약 1.5도 떨어져야 한다. 체온이 내려가면서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되면 자연스럽게 졸음이 찾아온다.그러나 열대야에는 외부 온도가 높아 체온이 쉽게 내려가지 않는다. 손발 말단 혈관이 확장돼 열을 방출해야 하지만, 바깥 공기가 뜨겁다면 이 과정이 막히면서 체내 열이 갇히게 된다.그 결과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몸은 각성 상태를 유지하고, 잠들기 어려워진다.

체온은 새벽 2~3시 무렵 가장 낮아진 뒤 다시 오르기 시작하는데, 이때 이미 체온이 충분히 내려가지 않았다면 작은 외부 자극에도 민감해져 쉽게 잠에서 깨게 된다.

신 교수는 열대야 속 숙면을 위한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열대야 속 ‘숙면’을 위한 6가지 전략

1. 낮이나 밤이나 커튼 치기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햇빛이 들어오면 실내는 복사열로 급격히 더워진다. 낮 동안 암막 커튼으로 빛을 차단하면 저녁 침실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다.

2. 잠자기 전 운동은 금물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적당한 낮 운동은 숙면에 도움이 되지만, 잠자기 직전 격한 운동은 체온을 올려 숙면을 방해한다. 이 시점엔 가벼운 요가나 스트레칭 정도가 적당하다.

3. 샤워·목욕, 온도와 타이밍이 관건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 취침 3~4시간 전: 뜨거운 물로 반신욕 또는 족욕
→ 체온을 올렸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해, 이때 체온 하강이 잠을 부른다.
▲ 취침 1시간 전: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샤워
→ 체온을 크게 올리지 않고 근육을 이완시켜 편안한 상태로 만든다.
※ 찬물 샤워는 교감신경을 자극해 오히려 잠을 방해할 수 있다.

4. 침실 온도는 시원하게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수면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섭씨 16~20도다. 에어컨을 24~26도로 맞추면 실제 침실 온도는 이 범위에 가까워진다.다만, 저체중이거나 갑상선 기능 저하 등 체온 조절이 어려운 사람은 조금 더 따뜻하게 설정하는 게 낫다.

5. 잠과 온도의 줄다리기 : 에어컨과 선풍기 사용법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수면 중 R.E.M 단계에서는 우리 몸의 체온 조절 기능이 잠시 멈춘다. 이때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우면, 몸은 마비 상태지만 뇌는 깨어 있어 불편함을 느껴 쉽게 깬다.

에어컨은 잠들고 2~3시간 타이머로 꺼지게 설정한다. 선풍기는 벽 쪽으로 틀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게 좋다. 바람을 직접 오래 맞으면 땀이 빠르게 증발해 탈수로 수면에 방해된다.

얇고 통기성 좋은 이불과 잠옷을 입어 새벽 한기를 막는 것도 효과적이다. 쾌적한 잠자리를 위해 텐셀, 유칼립투스, 대나무 등 통기성 좋은 침구류와 쿨링 매트리스를 추천한다.

6. 수분과 습도 관리도 숙면의 열쇠

연일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밤에도 체온이 제대로 떨어지지 않아 깊은 잠을 이루기 어려워졌다. 열대야 속 숙면을 위해서는 체온 조절과 적절한 환경 관리가 숙면의 핵심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연일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밤에도 체온이 제대로 떨어지지 않아 깊은 잠을 이루기 어려워졌다. 열대야 속 숙면을 위해서는 체온 조절과 적절한 환경 관리가 숙면의 핵심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침대 옆에 시원한 물을 준비해 체온 조절과 수분 보충을 돕는다. 다만, 잠들기 12시간 전부터는 물 섭취를 줄여야 야간뇨를 예방할 수 있다.

습도는 40~60%로 유지하고, 제습기를 틀거나 마주 보는 창문이 있다면 두 개 다 열어 바람 순환을 만들어야 한다.

신 교수는 “열대야 속에서도 체온과 환경만 잘 조절하면 숙면이 가능하다”며 “침실 환경을 점검하고 루틴을 조정하는 것이 꿀잠의 첫걸음”이라고 조언했다.


최강주 기자 gamja822@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