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보다 358%↑…이수진 “반려견 번식장 등 관리” 당부
19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에 에 따르면 인수공통감염병은 동물과 사람 간에 서로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병원체는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으로 다양하고 그 종류는 250여종에 이른다.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 받은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수공통감염병은 전체 7673건 발생했다. 감시에 나선 2015년 1674건 대비 358%나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살모넬라균 감염증 3789건,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3354건,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274건 순이었다.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인 장관감염증은 2015년부터 세부 분류별로 집계했다.‘원헬스 거버넌스 구축 추진’ 자료를 보면 지난해 6월 동물병원 종사자가 치료 중이던 반려견에 물린 뒤 38도의 발열과 설사 등의 증상을 보여 그해 7월 4일 개와 사람 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확인됐다.
지난해 8월에는 인천 강화도의 한 허가 개 번식장에서 구조된 300여 마리의 개 중 일부에서 간이 검사 결과 인수공통감염병인 브루셀라 양성 의심 반응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사람-동물-환경 간 ’원 헬스‘ 체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수진 의원은 “700만 명이 사망한 코로나19 팬데믹이 이대로 끝이 아니라 ’넥스트 코로나‘가 다시 올 수 있으니 정부가 철저히 대비해 인수공통감염병이 자주 발생하는 번식장의 위법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이 의원은 “정부는 ’사람-동물-환경‘에 공동 대응하는 원헬스 거버넌스 구축에 서둘러야 한다”면서 “국회 보건복지위 간사로서 국민이 안전한 일상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인수공통감염병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부연했다.(서울=뉴스1)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