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MB의 잠행…조 단위 빅딜 시장에 드리운 공백 우려

4 hours ago 1

CJ·HPSP·클래시스 매각 중단·연기 가닥
MBK 이탈, PE 빅딜 시장 전방위 영향
대형 PE 거래, 국내 하우스 줄며 난항
시장 신뢰 흔들…PE 시장 '무게중심' 이동

  • 등록 2025-05-04 오전 10:20:00

    수정 2025-05-04 오전 10:20:00

이 기사는 2025년05월04일 08시20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국내 대표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가 한동안 대형 인수전에서 모습을 감추면서, 조(兆) 단위 딜 시장에 공백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신청과 고려아연과의 갈등 등 연이은 악재 속에서 인수자로서의 행보가 사실상 중단되자, 시장에서 나오는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흐린 서울 시내 전경. (사진=연합뉴스)

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097950)은 최근 바이오사업부 매각 계획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CJ는 작년 말부터 해당 사업부 매각을 추진하며 복수의 글로벌 PEF와 논의를 이어갔고, MBK파트너스가 유력 원매자로 급부상하면서 협상은 올해 초 다시 급물살을 타는 듯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시장에서는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신청이 결정적 변수로 작용했다고 본다. 대형 유통 자산의 재무구조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며, MBK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 것이다.

바이오사업부의 기업가치는 5조~6조원으로 거론됐다. 인수금융을 활용한다고 해도 이 정도 규모의 매물을 인수할 수 있는 드라이파우더가 남은 곳은 사실상 MBK가 유일하다. 실제 이 딜의 경우 MBK를 제외하면 눈에 띄는 국내 원매자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CJ제일제당 입장에서는 거래 종결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딜 자체를 접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슷한 시기, 베인캐피탈이 추진 중이던 미용 의료기기 업체 클래시스(214150) 매각도 사실상 절차가 잠정 중단된 상태로 전해진다. 의료미용기기 업계 1위인 클래시스는 매각 대상 지분 61%에 대한 몸값만 2조원 대에 해당한다. 클래시스 인수에는 애초부터 글로벌 PEF들이 주요 원매자로 나섰던 것으로 알려진다. K뷰티 산업에 진출하고 싶은 해외PE들의 관심도도 높지만, 국내 대형PE 원매자 자체가 줄었다는 해석도 나온다.

수조 원 규모로 거론되던 코스닥 반도체장비업체 HPSP(403870) 매각 역시 원매자들의 온도차로 본입찰이 연기되는 가닥이다. 몸값이 2조원에 달하던 HSPS의 인수 후보 숏리스트에도 MBK파트너스와 베인캐피탈이 선정됐었다.

최근 본격화된 SK실트론 매각도 마찬가지다. 업계에서는 국내 대형 PEF 4파전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됐지만, 정작 MBK파트너스는 인수 의사를 공식화하지 않은 상태다. 그간 조 단위 바이아웃 거래에서 핵심 인수자로 활약해온 MBK의 부재는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조 단위 딜을 소화할 수 있는 PEF 하우스가 몇 안 되는데, MBK가 연이어 빠지면서 딜 자체가 무산되거나 조건이 급변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사모펀드 규제 강화 기조와 맞물려 빅딜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를 전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