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포티'의 의미가 달라졌다. 유행에 민감하고 젊게 생활하는 중년을 긍정적으로 뜻하던 이 말은 현재 '젊은 척하는 꼰대'라는 조롱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21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에 따르면 최근 1년 동안 온라인에서 영포티에 대한 언급량 10만4160건 가운데 부정적 키워드와 연관된 비율은 55.9%에 달했다. 긍정적 비율은 37.6%, 중립적 비율은 6.5%에 그쳤다. 감성과 연관된 검색 키워드 상위 10개 중 7개가 '욕하다'(1천39건), '늙다'(716건), '역겹다'(417건) 등 부정적 키워드였다.
영포티는 매년 트렌드를 분석해온 김용섭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 소장이 2015년 'X세대'를 겨냥해 처음 명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행에 민감하고 변화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중년의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했다. 영포티가 경제력과 트렌드 감각을 동시에 지닌 소비층으로 주목받자 기업들도 패션·미용 등에서 중년 배우를 모델로 내세우고 40대를 위한 제품군을 늘렸다.
그러나 10년 만에 상황이 뒤바뀌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영포티 브랜드'라는 이름으로 패션에 관심이 많은 40대가 주로 입는 옷들을 비꼬는 이미지가 퍼지고 있다. 뉴에라 모자와 슈프림·스투시 티셔츠, 나이키 농구화 등 스트리트 패션 아이템이 그 대상이다.
지난 19일 출시된 아이폰17도 영포티 조롱을 피해 가지 못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아이폰17 지름신 방지샷. 영포티 중년 아이템'이라는 그림이 화제를 모았다. 볼캡에 로고 티셔츠, 청반바지 차림의 40대 남성이 오렌지색 아이폰17 프로맥스를 들고 있는 그림이다. 젊음을 과시하는 스타일링이 더해지며 '아이폰은 영포티 아재폰'이라는 조롱이 이어졌다.
유행에 민감하고 자기계발·건강관리·트렌드 소비에 적극적인 40대를 의미하던 영포티는 현재 ‘외모만 신경 쓰며 젊은 척하는 중년’이라는 비판의 의미가 강해졌다. 지난달 한 지방자치단체 소속 여자 역도 선수가 SNS에 복근 사진을 올린 뒤 민원으로 징계 요청을 받자 "안 봐도 사회 부적응자 영포티"라고 맞대응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MZ세대의 기피도 한층 심해졌다. MZ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에 40·50세대가 유입되면 곧바로 MZ세대가 해당 브랜드를 외면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요즘 러닝화 주가가 안 되는 건 아저씨들이 일상화로 신기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서윗영포티'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앞에서는 여성 인권을 중시하는 세련된 중년을 자처하지만, 뒤에서는 젊은 여성에게 추파를 던지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인다는 의미가 담겼다.
소비와 정치가 한데 묶여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영포티 스타터팩'이라며 40·50세대에게 인기가 많은 브랜드와 커뮤니티, '노재팬' 운동, 김어준 등을 함께 모은 이미지가 공유된다. 실제 2022년 대선에서는 40대의 72.7%, 50대의 69.8%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다.
영포티 현상에 대해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영포티는 청소년기 외환위기로 누리지 못했던 것을 성인이 돼 경험하자 하는 적극적 표현을 하는 것"이라며 "문화적 주류인 MZ세대에 대한 부러움도 저변에 깔려있다"고 짚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의 시선에는 40·50세대가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됐음에도 자기애가 강하고 자기중심적 소비에만 집중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며 "이 같은 모습이 과시적으로 비치면서 세대 갈등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