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트윈스포가 폭발한 LG 트윈스가 2연승으로 한국시리즈의 90.5%의 우승 확률을 잡았다.
LG 트윈스가 27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2025 신한은행 SOL BANK KBO리그 한국시리즈 2차전서 장단 11안타로 폭발한 타선의 힘을 앞세워 13-5로 대승을 거뒀다. 이로써 LG는 홈에서 치른 1,2차전 승리로 한화에 한국시리즈 2연승으로 앞서갔다.
역대 한국시리즈에서 1, 2차전을 모두 승리한 지난해까지의 21번의 사례 중 최종 우승까지 연결된 건 모두 19차례로 우승 확률은 무려 90.5%(90.47%)에 달한다. LG는 1차전 완승에 이어 2차전서도 두 자릿수 득점을 올려 승리하면서 한국시리즈 승리의 매우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
전날 열린 1차전에서는 LG가 투타의 완벽한 조화를 앞세워 8-2로 완승을 거뒀다. 반대로 한화는 1차전 완패를 당하면서 PO시리즈 승리 분위기가 꺾였다. 그리고 2차전서도 LG가 장단 10안타를 뽑아 두 자릿수 득점을 올리며 이틀 연속 폭발한 메가트윈스포의 위력을 자랑했다.
LG의 5번 1루수 문보경은 홈런 포함 5타점 원맨쇼 경기를 펼쳤다. 4회 한화를 완전히 침몰 시키는 싹쓸이 3타점 2루타, 8회 쐐기 투런 홈런까지 5타수 4안타(1홈런) 1득점 5타점의 미친 활약을 펼쳤다.
7번 포수 박동원 역시 4회 쐐기 투런 홈런 포함 3안타 2득점 4타점 맹타를 휘둘러 공격을 이끌었다. 박동원은 7회에도 상대 실책 이후 득점을 가져온 희생번트를 성공시키는 등 LG의 득점 상황에서 빛났다.
LG의 4번 김현수 역시 1안타 1볼넷 2득점으로 이틀 연속 승리 조연으로 활약했다. 김현수는 이날 PS 통산 최다 4구 신기록인 49개째 볼넷을 얻어내면서 KBO리그 역사를 새롭게 쓰기도 했다. 그외에도 LG 타선에선 구본혁이 2회 동점 적시타 등으로 팀 승리에 힘을 보탰다.
반면 1차전서 패하면서 적지에서 한국시리즈 우승 확률 73.2%를 내준 한화는 2차전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역대 LG를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였던 토종 에이스 류현진이 잠실구장에서 한화의 운명을 걸고 마운드에 올랐다.
하지만 류현진이 3이닝 7피안타(1피홈런) 1볼넷 7실점의 개인 KBO리그 PS 최다 실점으로 무너졌다. 이후 마운드에 오른 구원진도 추가 실점하는 1차전의 경기 양상이 반복되면서 1회 4점을 뽑은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큰 점수 차의 역전패를 당했다. 문현빈, 노시환의 타석에서의 맹활약도 다시 빛이 바랐다.
경기 초반은 한화의 분위기였다. 선취점도 한화가 냈다. 경기 시작과 동시에 한화 타선이 임찬규를 두들겼다. 먼저 1회 초 이닝 선두타자 황영묵이 임찬규의 초구 한가운데로 몰린 141km 직구를 공략해 중견수 오른쪽 방면의 안타를 때렸다. 이어 리베라토가 루킹 삼진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문현빈이 이번엔 2B의 유리한 볼카운트서 3구째 가운데로 몰린 체인지업(127km)을 그대로 받아쳐 우측 담장을 넘어가는 투런 홈런을 때렸다. 비거리 120m. 타구 속도는 163.4km가 나왔고 발사각도는 30.5도였다. 동시에 문현빈의 한국시리즈 1호 홈런이기도 했다.
한화의 백투백 홈런이 폭발했다. 후속 타석에 들어선 노시환이 이번엔 1S의 볼카운트서 높은 코스로 몰린 143km 직구를 받아쳐 가운데 전광판 아래쪽 구조물을 때리는 비거리 138.6m 초대형 홈런을 때렸다. 타구 속도는 175.6km가 나왔고, 발사각도는 23.5도로 측정됐다. 역시 노시환의 한국시리즈 1호 홈런이다.문현빈과 노시환의 연속 타자 홈런 기록은 한국시리즈에선 11번쨰, 포스트시즌 통산 32번째 기록이었다.
한화는 후속 타자 채은성이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지만 후속 타자 손아섭이 좌측 깊은 선상의 깊은 코스에 떨어지는 2루타를 날려 또 한 번 득점권에 주자를 보냈다. 이어 하주석이 9구 접전 끝에 중전 적시타를 때려내면서 0-4까지 달아났다. 임찬규가 최인호를 삼진 처리하고 길었던 이닝을 마쳤지만 이미 4점 차 리드를 허용한 후였다.
1회 초 4실점을 하고 끌려간 LG가 곧바로 반격했다. 2회 말 류현진을 상대로 집중력 있는 승부를 펼쳐 빅이닝과 함께 이른 시간 역전에 성공했다.
이닝 선두타자 김현수의 안타로 이날 첫 출루에 성공했다. 김현수는 2S의 불리한 볼카운트서 3구째를 공략해 투수 옆을 꿰뚫는 중전 안타를 때려 공격의 물꼬를 텄다. 후속 타자 문보경은 1B-2S의 볼카운트서 4구째 공을 파울로 커트해낸 이후 5구째 볼을 골라냈다. 이어 6구째 좌측 방면의 홈런성 대형 파울 타구를 날렸다. 결국 7구 볼을 골라 풀카운트를 만든 문보경은 8구째 체인지업을 때려 우중간에 떨어지는 안타를 기록하면서 무사 1,3루를 만들었다.
계속된 찬스서 LG의 집중력이 돋보였다. 후속 타자 오지환이 볼넷을 골라 출루하면서 무사 만루를 만들었다. 그리고 박동원이 좌중간 방면의 적시 2루타를 때려 2점을 따라붙었다. 이어 타석에 선 구본혁의 강습 타구가 류현진을 맞고 우중간 적시타로 연결되면서 그 사이 2루 주자 박동원과 3루 주자 오지환이 모두 홈을 밟았다. 스코어 4-4 동점.
거기서 끝이 아니었다. 후속 타자 박해민의 희생번트로 주자를 2루로 보낸 LG는 홍창기의 우중간 적시타로 마침내 5-4로 역전에 성공했다.
3회 말 공격에서 LG가 점수 차를 더 벌렸다. 이닝 선두타자 김현수가 유격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하지만 1사 후 문보경이 좌전 안타로 또 한 번 출루에 성공했다.
후속 오지환이 2루수 땅볼로 물러났다. 그러나 박동원이 류현진의 5구째 한 가운데로 몰린 체인지업(128km)을 좌측 담장을 넘어가는 투런 홈런으로 연결했다. LG가 7-4로 점수 차를 더 벌리는 쐐기 홈런이었다.
한화 타선이 이어진 4회 초 공격에서 볼넷과 LG의 실책 등을 묶어 만든 만루 찬스서 문현빈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을 따라붙었다.
하지만 류현진을 끌어내린 LG 타선이 4회 말 한화의 구원진에게 추가점을 뽑고 경기 흐름을 다시 가져왔다. 1사 후 홍창기가 몸에 맞는 볼로 출루했다. 후속 타자 신민재의 삼진 이후 오스틴이 볼넷을 골랐다. 이어 김현수의 추가 볼넷으로 1사 만루 기회를 이어갔다. 그리고 4회에만 김종수에서 김범수로 2번째 바뀐 한화 마운드를 문보경이 무너뜨렸다.
문보경은 김범수의 초구 118km 커브를 통타했고 타구는 한화의 우익수 키를 넘어 우측 담장 펜스 바로 아래를 맞고 그라운드로 떨어졌다. 그 사이 3명의 주자는 모두 홈을 밟으면서 싹쓸이 3타점 2루타가 됐다. 홈런 여부에 대한 비디오 판독 결과 원심은 바뀌지 않았지만 LG가 10-5까지 스코어를 벌리면서 완전히 경기 흐름을 가져왔다.
임찬규에 이어 이른 시간부터 가동된 LG 불펜의 활약도 훌륭했다. 4회 1사 만루에서 등판한 김영우가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고 승계주자 실점을 허용했다. 그러나 이후 등판한 김진성이 1.1이닝 2탈삼진 무실점으로 완벽하게 틀어막았다. 이어 나온 송승기도 2이닝 3탈삼진 역투를 펼쳐 무실점으로 리드를 지켜냈다. 반면 경기 중반까지 뜨거웠던 한화 타선이 LG 구원진이 가동된 이후 꽁꽁 얼어붙었다. 5~7회 연속으로 이렇다할 찬스도 만들어내지 못하고 완전히 틀어막혔다.
큰 점수 차 리드에도 LG 타자들의 집중력이 돋보였다. 7회 말 오지환의 2루타 이후 박동원의 희생번트 때 상대 수비 실책이 나오면서 1점을 더 내고 11-5로 점수 차를 더 벌렸다.
LG 타선은 끝까지 멈추지 않았다. 8회 2사 1루에서 문보경이 경기 쐐기를 완전히 박는 투런포를 날려 사실상 경기를 끝냈다. LG가 13-5, 8점 차로 완벽하게 스코어를 벌리는 한 방이었다.
그 정도 리드면 충분했다. 8회를 함덕주가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은 이후 9회 이정용이 마운드에 올라 경기를 매조졌다.
[잠실(서울)=김원익 MK스포츠 기자]





![“독기 생겨, 더 단단히 준비하겠다”…천금같은 결승 2타점 적시 2루타로 19년 만의 한화 KS 승리 이끈 심우준의 굳은 다짐 [KS 인터뷰]](https://pimg.mk.co.kr/news/cms/202510/30/news-p.v1.20251030.1278612d1abf4b3d993b9f68a3935b6a_R.jpg)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