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 “한국 반도체 업종 의견, 매력적 상향…SK하이닉스 내년 호황”

5 hour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한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의견을 '시장 평균 수준'에서 '매력적'으로 상향하고 메모리 반도체의 호황을 전망했다.

그들은 HBM과 AI 서버, 모바일 D램 수요 덕분에 일반 메모리칩의 가격 변동성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2027년경 정점 패턴에 이를 것으로 관측했다.

골드만삭스 또한 한국 증시가 여전히 저평가된 상태라고 분석하며, 코스피가 선진국 대비 51% 저평가됐다고 평가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퍼스트 무버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열린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에서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이 영상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SK하이닉스 뉴스룸]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퍼스트 무버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열린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에서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이 영상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SK하이닉스 뉴스룸]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메모리 반도체가 호황을 거듭하고 있다며 한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의견을 ‘시장 평균 수준’에서 ‘매력적’으로 상향했다.

21일(현지시간) 모건스탠리는 ‘메모리 슈퍼사이클’이란 보고서를 통해 “HBM(고대역메모리칩)을 둘러싼 기회가 업계 성장률을 앞서고 있고 인공지능(AI) 서버와 모바일 D램 수요 덕분에 일반 메모리칩의 가격 변동률이 다시 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 사이클 지표는 더는 단기 부진 방향으로 가지 않고, 반대로 2027년경 정점 패턴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며 “메모리 산업의 역학이 바뀌면서 모든 곳에서 공급 부족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SK하이닉스에 대해 “HBM에 관한 다운사이드 리스크(하방 위험)는 이미 투자자들에게 잘 알려진 사안이며 일반 메모리칩 시장은 내년 호황(업사이클)을 내다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SK하이닉스 외에 삼성전자, 일본 키옥시아, 미국 샌디스크를 낸드(메모리칩의 일종)와 일반 D램 반도체 호황을 잘 반영할 선호 업체로 제시했다.

모건스탠리는 “관세 이슈가 만들어낸 현재의 반등구간(업턴)은 내년에도 더 빨리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며 “D램 공급 과잉 문제는 나아질 것이며 낸드는 AI eSSD(고성능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의 수요가 내년 갑절로 치솟으면서 공급 부족 상황으로 갈 것”이라고 관측했다.

골드만삭스도 최근 보고서에서 연일 최고 기록을 경신 중인 한국 증시가 여전히 저평가 상태라고 진단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9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한국 신정부가 오랜 문제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여러 정책을 시행하면서 코스피를 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으나, 한국 주식시장은 여전히 저평가된 상태”라며 “전체 종목의 70%가 저평가된 채 거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코스피가 선진국 대비로는 51%, 신흥국보다는 34% 저평가됐다고 평가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