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만여명이 사는 충북 보은지역의 유일 응급의료기관인 보은한양병원이 전담의사를 구하지 못해 응급실 문을 닫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1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병원은 지난 달까지 4명의 전담의사로 응급실을 운영했지만, 이 중 3명이 최근 수련병원에 복귀하거나 근무조건이 더 좋은 곳으로 이직했다.
24시간 응급실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적어도 4명의 의사가 있어야 한다.
병원 측은 내년 초 입대 예정인 전공의 1명과 다른 병원 의사 3명을 시간제로 고용해 가까스로 응급실을 운영하고 있다.
여러 차례 모집 공고를 냈지만 연락 오는 의사가 한명도 없다고 병원 관계자는 토로했다.
그러면서 응급실 문을 열고 있지만 언제까지 버틸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응급실 전담의사 모시는 게 ‘하늘의 별따기’가 되면서 몸값도 치솟아 경영에 큰 부담이 된다”며 “세후 월급이 1500만원에서 2000만원대로 올라서는 데 1년도 걸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의료취약지 응급실 인력난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의정 갈등을 겪으면서 더욱 심화했다는 게 의료계 분석이다. 사직 전공의가 한꺼번에 들어왔다가 썰물처럼 빠지면서 수급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
여기에다가 인력난을 겪는 병원 간 ‘웃돈 스카우트’ 경쟁까지 붙으면서 몸값이 천정부지로 뛰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