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는 속담의 해석을 두고선 네티즌들 사이에서 ‘문해력 논란’이 일자 국립국어원이 명쾌한 답을 내놨다.
23일 국립국어원은 “비록 하찮은 짐승일지라도 밥을 먹을 때에는 때리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음식을 먹고 있을 때는 아무리 잘못한 것이 있더라도 때리거나 꾸짖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라며 개를 밥 먹는 주체라고 설명했다. 이어 “먹는 개도 아니 때린다” “먹을 때는 개도 때리지 않는다” 등 같은 뜻을 담은 속담이 있다고 설명했다.
표준국어대사전도 “비록 하찮은 짐승일지라도 밥을 먹을 때에는 때리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음식을 먹고 있을 때는 아무리 잘못한 것이 있더라도, 때리거나 꾸짖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앞서 최근 대치동 국어학원 강사로 알려진 유튜버 밍찌의 소셜미디어(SNS)에는 “개 밥 vs 사람 밥”이라는 제목의 짧은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밍찌는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라는 속담에서 ‘개’를 밥 먹는 주체로 볼지, 건드리는 주체로 볼지에 따라 뜻이 바뀐다고 밝혔다.
이어 “개를 ‘밥 먹는 주체’로 생각한다면 아무리 하찮은 존재일지라도 밥 먹는 중이니 건드리지 말라는 뜻을 가진다”며 “(또는) ‘건드리는 주체’로 본다면 그 눈치 없는 짐승인 개조차 ‘사람이 밥 먹을 때는 건드리는 게 아니야’라고 속으로 생각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자신은 개를 밥 먹는 주체로만 생각해 왔다”며 “다른 해석도 일리가 있는데 ‘개’ 뒤에 붙은 보조사 ‘도’가 뭘 받는 건지 명확하지 않아서 둘 다 그럴듯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밍찌는 해당 영상에 투표를 첨부해 의견을 물었는데 의견은 팽팽하게 갈렸다. 또 밥 먹는 주체로 본 이들은 “건드리는 주체로 본 건 문해력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