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은 산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집·밭·도로서도 물린다

6 hours ago 1

챗GPT가 생성한 이미지.

챗GPT가 생성한 이미지.
완연한 봄기운과 함께 등산, 농작업 등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뱀과 같은 야생동물의 출몰이 잦아지고 있다. 특히 뱀물림 사고는 산속보다 생활 반경 가까운 곳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소방청이 발표한 ‘2022년 뱀물림 사고 분석 결과’에 따르면 뱀물림 사고는 밭(33.8%)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집(17.2%), 도로(8.2%), 산(6.1%), 작업장(3.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뱀은 산속에만 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생활 반경 내에서도 쉽게 마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는 살모사류와 같은 독사 등 다양한 뱀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사람에게 심각한 손상이나 쇼크를 유발하는 독을 지니고 있다.

물렸다면, 뱀에게서 멀리 떨어져 119 신고

뱀에게 물렸을 경우, 즉시 물린 장소에서 멀리 떨어져 119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뱀은 공격 후 일정 시간 머무는 습성이 있어 재차 공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린 부위에는 일반적으로 통증, 출혈, 오심, 감각 이상, 호흡 곤란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난다. 뱀의 종류나 독의 양에 따라 증상은 달라질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심리적 흥분을 피하는 것이다. 독이 몸으로 퍼진다는 공포감에 흥분하는 경우가 많은데 심박수가 올라 독이 빠르게 퍼질 수 있다. 119가 올 때까지 최대한 안정을 취하고 움직임을 최소화해야 한다.

응급처치로는 다음과 같은 행동이 필요하다.△물린 부위는 심장보다 낮게 유지 반지·시계·팔찌 등 액세서리 제거 2~3cm 위쪽을 붕대로 가볍게 감싸 림프 순환 지연 (단, 동맥 혈류를 막지 않도록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느슨하게 감을 것)이다.

반면, 입으로 독을 빼거나 상처를 절개하는 행동은 절대 금지다. 이로 인해 2차 감염이나 조직 손상이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대동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배병관 과장(응급의학과 전문의)은 “흔히 뱀은 건드리지 않으면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사고는 농작업이나 야외 활동 중 풀숲에 숨어 있는 뱀을 모르고 건드려 물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라며 “최근 이상 기온으로 더위가 빨라져 출몰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는 만큼 뱀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사전 예방과 정확한 응급처치 지식이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

뱀물림 예방하려면? 옷차림·환경관리 중요

사고 예방을 위해 논밭, 산, 숲, 암석 지대 등 뱀이 출몰할 수 있는 지역을 방문할 때는 긴 바지, 긴소매 옷, 장갑 등을 착용하며 잡초나 풀이 많은 곳은 막대기를 이용해 미리 확인해야 한다. 후각이 발달한 뱀은 냄새에 민감하기 때문에 향이 강한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집 주변에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마당에 자란 풀은 수시로 정리를 하며 나뭇가지가 주택에 닿지 않도록 가지치기하는 것도 뱀물림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또한 집안 창고나, 틈새 공간 등 뱀이 숨어들 수 있는 장소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정리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조유경 기자 polaris27@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