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무용과 스페인 민속 춤인 플라멩코의 만남을 그린 무용 '아파나도르'는 스페인 국립플라멩코발레단에게 신세계를 열어줬다. 콜롬비아 사진작가 루벤 아파나도르가 플라멩코 무용수들을 촬영한 흑백 사진집에서 영감을 얻어 연출가 마르코스 모라우가 무용으로 탄생시킨 '아파나도르'는 2013년 초연 이후 세계 각지에서 호응을 얻었다. 지구 반대편 무용단의 폭발적 에너지는 오는 30일과 5월 1일, 양일간 서울 GS아트센터에서 재현된다. 차갑고 정적인 사진의 순간을 재해석한 뜨거운 무대를 준비중인 무용수 윤소정(31)을 지난 28일 만났다. 그는 스페인 국립플라멩코발레단 내 유일한 한국인 무용수다.
"'아파나도르'는 플라멩코하면 떠오르는 붉은색에서 벗어나 흑백,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검정색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의 아름답고도 거친 몸짓, 의자와 교수대 등을 오브제로 활용한 파격적인 무대 구성을 만나보실 수 있을 거에요."
생후 7개월부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쭉 살아온 윤소정은 스페인의 민속 무용을 배웠고 2019년 국립플라멩코발레단에 입단했다. 아시아인 최초 입단이었고 지금도 한국인 무용수로는 혼자다. 이번 공연을 위해 함께 방한한 루벤 올모 예술감독은 "오디션에서 윤소정의 춤을 봤을 때 이미 사랑에 빠졌다"고 고백했다. 윤소정은 "'아파나도르'를 통해 어린시절부터 배워온 스페인 무용이라는 틀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됐다"며 "사진집에 수록된 과장된 오브제들을 댄서들의 움직임으로 극대화하는 작업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극단에 이르는 경험이었다"고 했다.
스페인 국립플라멩코발레단은 1978년 설립됐다. 플라멩코를 비롯한 스페인 전통무용의 유산을 보존하면서 현대적인 해석도 가미하는, 이 나라 명문 무용단이기도 하다. 민속춤, 민속춤에 발레의 테크닉을 섞은 에스쿠엘라 볼레라, 춤과 기타, 노래가 어우러진 안달루시아 지방의 플라멩코, 그리고 앞서 언급된 영역을 섞어 동작을 새롭게 창작한 고급 무용 등 네가지 형식을 넘나드는 것이 이 무용단의 장점이자 특징. 윤소정은 "다양한 움직임을 터득한 무용수들로 구성돼 있기에 탱고나 살사 등 새로운 무용을 배우면 단원들이 금세 습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페인 춤은 테크닉도 중요하지만 '감성적인 표현'이 요구되는 예술"이라며 "즉흥적인 움직임도 많기에 항상 도전적인 자세로 춤을 춰야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이 보여줄 '아파나도르'는 수석 무용수만이 주목을 받는 자리가 아니다. 군무의 무용수와 수석 무용수 모두가 한데 어우러져 하나의 그림같은 모습을 연출하는 작품이다. 윤소정은 2023년 9월 이 안무를 습득해 그해 12월 플라멩코의 본고장 세비야에서 첫 공연을 경험했다. "익숙하지만 항상 새로운게 '아파나도르'라는 작품이에요. 예술감독님이 현대적 해석이라 해서 스페인만의 색깔을 잃지 말라고 항상 조언하는데요. 사진작가 루벤 아파나도르와 연출가 마르코스 모라우의 의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조언이라 마음에 새기고 연습하고 있습니다."
이해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