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 의정부에서 사전청약 당첨자 가운데 17%만 본청약을 신청하는 등 수도권 공공분양 단지에서 사전청약 당첨자의 포기가 잇따르고 있다. 업계에선 본청약이 4년이나 걸려 사전청약 당첨자의 이탈이 많았다고 보고 있다. 사전청약 배정 물량이 일반공급으로 전환돼 수도권 공공분양을 노리는 수요자들의 기회가 늘어났다. 정부가 내년까지 수도권에 공공주택 3만2000가구를 공급하기로 해 선택의 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의정부 사전청약자 무더기 포기
8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최근 의정부 우정 A-1블록 사전청약 당첨자의 청약 접수 결과 배정 물량 300가구에 대한 본청약 신청은 단 53건에 그쳤다. 당첨자 247명이 무더기로 본청약을 포기한 것이다.
이번 공공분양 단지는 전용면적 59㎡ 538가구로 구성됐다. 분양가가 3억9000만원대로 수도권에서 보기 힘든 3억원대 새 아파트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사전청약 당첨자의 본청약 신청 비율이 17.6%에 그치면서 업계에선 “사전청약 제도의 문제가 불거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단지는 2021년 10월 사전청약을 진행해 본청약까지 4년이 걸렸다. 일정 지연으로 사전청약 당첨자 중 상당수가 다른 분양 단지를 선택했다는 후문이다.
사전청약 당첨자가 빠진 만큼 본청약 물량이 늘어났다. 당초 이 단지에는 사전청약 당첨자에게 300가구,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각각 178가구, 60가구를 배정했다. 이번 사전청약 미달로 남은 247가구가 일반공급 물량으로 전환됐다. 본청약을 노리는 예비 청약자의 당첨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 셈이다.
앞서 본청약을 진행한 다른 공공분양 단지도 사정은 비슷하다. 남양주 진접 2A-1블록은 657가구가 사전청약 당첨자에게 배정됐지만, 367명만 본청약을 신청했다. 남양주 왕숙 B-1블록도 사전청약 당첨자의 본청약 접수율이 62.6%에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사전청약 당첨자가 이후 다른 청약에 당첨됐거나 기존 주택 매매 등으로 눈을 돌려 신규 실수요자에겐 기회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내년까지 수도권 3만2000가구 분양
정부는 수도권 실거주를 희망하는 예비 청약자를 위해 공급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5000가구 공급에 이어 내년 2만7000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3기 신도시인 고양 창릉(1600가구)을 비롯해 남양주 왕숙2(1490가구)와 인천 계양(1300가구), 부천 대장(500가구)이 내년 본청약을 받는다. 성남 복정2(590가구)와 수원 당수(730가구) 등 중소형 공공택지도 분양에 나선다. 이들 지구는 정부가 추가적인 교통 대책과 입주 지원을 약속한 만큼 거주 환경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연내 3만 가구 규모의 수도권 신규 공공택지 조성도 검토한다. 지난해 발표한 수도권 주택 공급 대책 당시 예고한 추가 물량이다. 수도권에 남아 있는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완화해 공급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신규 공공택지는 2030년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착공이 어려울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물량이 확대되는 3기 신도시와 이미 발표한 서울 서초구 서리풀지구 등은 빠르게 분양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까지 일반공급 물량을 노리는 실수요자는 적극적으로 청약에 도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3 weeks ago
15

![[한경 매물마당] 강남 역삼역세권 신축 부지 등 6건](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11/3, MK추천매물] 서초구 서래마을 투자용 고급주택 100억원 등](https://pimg.mk.co.kr/news/cms/202511/03/news-p.v1.20251103.a7fc6d03b9564b8baad76caa3715e6b5_R.jpg)

!["한강 위주로만 보여주세요"…오르는 곳만 오르더니, 결국 [돈앤톡]](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17065.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