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을버스 "환승할인제 탈퇴하겠다"

7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마을버스 업체들이 대중교통 환승 할인 손실 보전을 요구하며 내년 1월 1일 환승제도에서 탈퇴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마을버스 요금 문제와 회계 투명성을 지적하며 지원 체계를 개편하고, 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 중이다.

서울시는 마을버스 지원 규모를 늘리더라도 지속된 운행률 저조와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실효성 있는 개선안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와 갈등 격화
1조 규모 손실보전 요구나서
市 "경영난, 지원부족탓 아냐"
성과제 등 새 개선방안 추진

22일 서울 은평공영차고지에 마을버스들이 대기해 있다.  연합뉴스

22일 서울 은평공영차고지에 마을버스들이 대기해 있다. 연합뉴스

서울마을버스 업체들이 대중교통 환승 할인 손실분을 보전해주지 않을 경우 내년 1월 1일 환승제도에서 탈퇴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이에 서울시는 새로 마련한 개선안을 통해 협의를 이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22일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기자회견을 열고 '대중교통 환승 통합 합의서 협약 해지' 공문을 서울시에 발송한다고 밝혔다. 김용석 조합 이사장은 "현재 마을버스 요금은 1200원이지만 승객 대부분이 시내버스나 지하철로 갈아타기에 마을버스 업체는 승객 1인당 600원만 정산받고 나머지 600원은 손실로 잡고 있다"며 "이러한 손실액을 서울시가 100% 보전해주지 않아 마을버스 입장에선 환승객이 많을수록 손해가 커지는 모순된 구조가 굳어졌다"고 설명했다. 조합은 지난 20년 동안 환승손실금이 매년 평균 1000억원씩 발생했을 뿐 아니라 그간 서울시로부터 보전받지 못한 금액을 모두 합하면 1조원을 넘는다는 입장이다. 조합은 시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을 경우 내년 1월 1일 대중교통 환승제도에서 탈퇴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조합 측은 서울시의 지원 부족으로 업계가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서울시가 재정 지원을 받는 97개 운수사의 회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36개사에서 대표 등 특수관계인에게 회사자금으로 총 201억원을 대여하는 등 회계상 문제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단순한 재정 지원 확대가 아닌, 대시민 교통 서비스 개선과 연계된 합리적 지원 체계 개편을 추진 중이다. 최근 5년간 마을버스 재정 지원 규모를 2019년 192억원에서 2025년 412억원으로 두 배 이상 확대했지만, 여전히 낮은 운행률과 배차 준수율로 시민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서울시는 성과 기반 지원제 도입, 회계 투명성 확보, 운행계통 정상화를 포함한 실효성 있는 개선안을 마련해 지난 8월초 마을버스 운영 심의위원회에 개선안을 상정했으며 마을버스 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해 정식 논의 중이다.

[안병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