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혈주의 깼다"…현대오토에버, 'S급' 외부 인재 폭풍 영입 [강경주의 테크X]

7 hours ago 1

사진=현대오토에버

사진=현대오토에버

현대오토에버가 외부 인재 영입을 통한 체질 개선과 기술 내재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순혈주의를 깨고 실력 중심 인재를 전방위로 영입하면서 보수적이었던 조직문화를 빠르게 혁신하고 있다는 평가다. 클라우드 부문과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경쟁력 확보를 위한 김윤구 대표의 '인재 경영'이 속도를 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4일 시스템통합(SI) 업계에 따르면 현대오토에버는 최근 클라우드 전문가 이경수 상무를 클라우드인프라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이 상무는 26년간 삼성전자와 아마존웹서비(AWS) 등 정보기술(IT) 업계에서 경력을 쌓았다. 이 상무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 수립, 데이터 센터 운영 효율화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CSP)과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 사업(MSP) 확대를 꾀하는 현대오토에버가 관련 전문가를 영입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12월엔 AWS, 구글 클라우드, VM웨어, 오라클 등에서 27년 이상 경력을 쌓은 양승도 상무를 클라우드기술사업부장으로 영입했다. 회사는 클라우드 전문가를 전진 배치해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커넥티드 카 서비스(CCS)를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 역량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에는 SK텔레콤과 삼성SDS 등을 거친 서비스 플랫폼 전문가 조현준 상무를 신임 SW개발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지난 1월에는 디지털경험(DX) 강화를 위해 DX센터를 신설하고 초대 센터장으로 삼성SDS 출신의 김지현 상무를 영입하면서 올해에만 3명을 수혈했다.

현대오토에버의 외부 인재 영입은 지난해부터 본격화됐다. 회사가 2023년 영입한 외부 출신은 2명이지만 지난해엔 7명을 데려왔다. 김 대표가 부임 후 처음 데려온 류석문 SW플랫폼사업부장(전무)은 LG전자를 거쳐 인텔코리아 최고기술책임자(CTO), 쏘카 CTO 등을 지냈다. 비슷한 시기 합류한 전사적자원관리(ERP)센터장인 김선우 상무는 삼성전자에서 ERP 운영을 총괄했다.

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 / 사진=현대오토에버

김윤구 현대오토에버 대표 / 사진=현대오토에버

보안과 전략 분야도 강화했다. 지난해 7월 보안총괄임원(CISO)으로 영입된 최원혁 상무는 200여명의 보안 인력을 이끌고 있다. 같은해 8월 합류한 혁신전략컨버전스사업부장인 박상수 상무는 맥킨지, 액센츄어 등을 거쳤다. 직전 근무지인 A.T.커니에선 현대자동차그룹에 SDV 컨설팅을 제공했다. SDx 센터장인 장연세 상무도 합류 이후 'SW 경험 확대' 전략을 총괄하고 있다.

현대오토에버가 외부 인재를 대거 영입한 배경에는 김 대표의 인재술이 자리잡고 있다. 현대차그룹 인사실장 출신인 그는 그룹 이해도가 높고 인재 전략에 정통한 '인재통'이다. 현대차그룹이 정의선 회장 체제로 전환되면서 순혈주의를 깨고 능력 중심의 인재 채용 기조를 이식한 것도 김 대표다.

'S급' 리더 영입이 실무자급 핵심 인재 영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겠다는 게 김 대표의 구상이다. 김 대표의 파격적인 인재술은 실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회사는 지난해 매출 3조7136억원, 영업이익 2244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대비 21.2%, 23.7% 증가했다. 김 대표는 "전문성을 갖춘 리더의 영입이 혁신의 출발점"이라고 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