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국가유산청은 신라의 자연재해에 대한 대처와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영천 청제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2일 지정 예고했다.
![]() |
청제건립비(앞면) |
![]() |
청제수리비(뒷면) |
‘영천 청제비’는 신라 때 조성돼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청못’ 옆에 세워진 2기의 비석이다. 청제건립·수리비와 청제중립비로 구성돼 있다. 받침돌과 덮개돌 없이 자연석에 내용을 새겼다는 점이 특징이다.
비석에는 지역의 물을 관리하기 위한 제방의 조영 및 수리와 관련한 기록이 담겨 있으며 대부분 판독이 가능할 정도로 양호한 상태다.
청제건립비(앞면)는 536년(법흥왕 23년) 2월 8일 큰 제방을 준공한 사실과 공사 규모, 동원인원, 공사 책임자, 지방민 관리자에 대한 기록 등을 담고 있다. 서체는 예스럽고 비정형적이다. 자유분방한 6세기 신라 서풍의 전형에 해당한다.
청제수리비(뒷면)는 798년(원성왕 14년) 4월 13일 제방 수리공사의 완료 사실과 함께 제방의 파손·수리 경과보고 과정, 수리 규모, 공사 기간, 공사 책임자, 동원 인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청제건립비와 마찬가지로 신라 고유의 서풍을 계승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 |
청제중립비 |
![]() |
영천 청제비 전경 |
국가유산청은 “청제건립·수리비는 신라사에서 홍수와 가뭄이 가장 빈번했던 시기 자연재해 극복을 위해 국가에서 추진했던 토목공사에 관한 기록이 담긴 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고 설명했다.
청제건립·수리비 바로 옆에 자리한 청제중립비는 1688년(조선 숙종 14년) 땅에 묻혀 있었던 청제건립·수리비를 다시 일으켜 세운 사실을 담고 있다. 이 비석 역시 조선의 일반적인 서체를 따르지 않고 신라의 예스러운 서풍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영천 청제비’는 청제의 건립 및 수리 과정, 왕실(국왕) 소유의 제방 관리 및 보고 체계 등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의 정치 및 사회·경제적 내용을 연구하고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짚었다. 이어 “한 비석에 시기를 달리하는 비문이 각각 기록된 희귀한 사례라는 점, 조성 이래 현재까지 원 위치에서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부연했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영천 청제비’를 국보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