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애플이 지난 6일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뒤 강세 흐름을 보이며 나스닥은 물론 3대 지수를 모두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면서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6.97포인트(0.47%) 오른 44,175.6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9.45포인트(0.78%) 오른 6,389.4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07.32포인트(0.98%) 오른 21,450.02에 각각 장을 마쳤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나스닥 3대 지수 상승에 기여한 애플은 이날 4.24% 급등했다.
상호관세가 한국시간 7일 13시1분 본격 시행된 뒤 전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관세에 대한 예외 적용 기대감에 기술주를 중심으로 뉴욕증시가 호조를 이어가는 분위기다.
6일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에서 제조하는 기업에는 예외를 둘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새 이사에 '트럼프 충성파'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지명한 것도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이며 투자심리를 긍정적으로 돌리는 데 기여했다.
체리레인 인베스트먼츠 릭 메클 파트너는 "연준이 금리를 내리려는 가운데 연준과 맞서지 말자는 생각을 갖는 투자자들이 분명히 있다"며 "관세가 어떻게 될지 여전히 불확실한 가운데 관세 결정이 빠르게 번복될 수 있음을 알면서 공매도하려는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