앳되었던 나의 부모처럼[2030세상/김지영]

5 days ago 6

김지영 스타트업 투자심사역(VC)·작가

김지영 스타트업 투자심사역(VC)·작가
출산을 했다. 초음파 사진과 발길질로만 어렴풋하게 인지하던 존재가 꼬물거리며 품에 들어왔다. 제왕절개 전날, 병실 침대에 누워 남편에게 말했다. “기분이 이상해. 엄마가 되기 전날이라니. 살면서 이렇게 큰 변화는 없었던 것 같아.” 그 밤, 우리는 쉬이 잠들지 못했다. 다음 날 차가운 수술대 위에 누워 기도하기를 한참. “응애!” 마침내 터져 나온 피 끓는 울음소리에 덩달아 울음이 터졌다. 그리고 뽀얀 아기가 내 옆으로 왔다. 생각한 것보다 더 희고 오밀조밀하고 예쁜 아기가.

병원에서는 통증과 회복으로 정신이 없었다. 신생아 면회도 하루에 딱 한 번 창문 너머로 2분뿐이라 우리가 아기를 낳기는 낳은 건가, 꿈을 꾼 건가 싶어질 즈음 퇴원을 했다. 산후조리원에 도착해 짐 정리를 마치고 저녁이 돼서야 온전히 함께 있을 시간이 생겼다. “얘가 어떻게 내 배에서 나왔지?” 노오란 빛 속에 아기와 셋이 있는 게 무언가 비현실적이었다. “우리 거다, 우리 거.” 태어나 처음 느껴보는 종류의 행복이 거기 있었다.

그제야 실감했다, 부모가 됐다는 것을. 세상 사람들이 다 하고 사니 별일 아닌 것 같지만, 막상 내 일이 되니 비할 데 없이 큰일. 책이나 드라마에서 또는 주변에서, 가깝게는 부모님을 통해 숱하게 접하면서 너무나 익숙해진 나머지 마치 아는 것만 같지만 겪어보지 않으면 영영 알 수 없는 일. 이 많은 사람들이 이 대단한 경험을 가지고 살고 있었다는 것이 새삼 거짓말 같았다.

며칠 뒤 출생신고가 완료됐다는 안내를 받자마자 부리나케 주민등록등본을 떼어봤다. 남편과 내 이름 밑에 밤낮을 고심해 붙인 이름 석 자가 ‘25’로 시작하는 생경한 일련번호와 함께 놓여 있었다. 문득 나는 내 ‘추억상자’에 있는 또 다른 등본 하나를 떠올렸다. 아빠 이름 밑에 엄마와 언니, 나, 동생의 이름이 순서대로 적혀 있는 2008년 발행 등본. 필요해서 떼 놓았다가 언젠가는 아련해질 서류라는 생각에 근 20년을 간직해 왔다. 세 딸이 각기 가정을 이뤄 그 등본이 ‘해체’된 지는 오래지만, 내 이름 밑에 자녀 한 줄이 덧대어진 기분은 또 사뭇 다른 것이었다.

단축번호 1번이 ‘우리 집’이던 시절이 있었다. 늦잠을 자면 아빠 찬스를 쓰던 시절이, 비가 오면 엄마가 우산을 들고 기다리던 시절이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단축번호 1번은 점차 남자친구에서 남편으로 대체됐고 다 큰 딸은 더 이상 출근길이나 늦은 귀갓길 아빠를 찾지도, 비오는 날 엄마를 찾지도 않았다. 그래서일까. 몇 해 전 딸 집에 머물던 아빠는 느닷없이 회사에 태워다 주겠다 하셨다. “힘들게 뭐 하러!” 손사래 치는 내게 아빠가 말했다. “너희들 학교 태워다 주던 때가 생각나서.”

새로운 가족의 탄생을 선언하는 그 등본을 보며 생각했다. 이제 내가 우산을 들고 서 있을 차례라고. 그리고 아주 먼 미래에는 출근하는 딸을 붙들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우리 딸 학교 데려다 주던 때가 생각나서.” 그 미래에 서서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오늘을, 너를 사랑하련다. 앳된 나의 부모가 나를 길러냈을 바로 그 마음으로.

2030세상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딥다이브

  • 내가 만난 명문장

    내가 만난 명문장

  • 소소칼럼

김지영 스타트업 투자심사역(VC)·작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