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국정감사에서 한강버스를 놓고 오세훈 시장과 더불어민주당 의원 간 공방이 벌어졌다. 민주당은 안전성 미흡과 재정 구조 불투명성을 문제 삼았고, 오 시장은 “안전 문제는 없고 2~3년 내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20일 천준호 민주당 의원은 “시범운항 당시 발전기 방전이 지적됐는데 정식 운항 때도 고장이 났다”며 “자료를 요구하자 ‘민간사업자 추진 사항’이라며 제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오세훈 시장은 “총체적으로 안전상 문제가 없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세부 기술 문제는 실무자 소관”이라고 답했다.
이연희 의원은 “배터리가 물과 열에 취약하다. 여름 폭염 시 안전 검증을 했는가”라고 물었고, 신영대 의원은 “상방향 폭발 유도식 구조로는 승객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선박용으로 가장 안전한 배터리를 사용했고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안전성을 검증받았다”며 “화재 대응 매뉴얼도 마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건태 의원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가 담보 없이 876억 원을 대출해 지방공기업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용기 의원은 “SH가 은행 대출 500억 원을 받으면서 한강버스 부실 시 SH가 빚을 대신 갚는다는 컴포트 레터를 제출했다”고 공개했다.
오 시장은 “담보는 없지만 상환 장치가 충분히 마련돼 있다”며 “운항 2~3년 후에는 충분히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운항 수입보다 선착장 부대시설, 광고 수입에서 수익 기반이 확인됐다”며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도 재정 위험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