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SK텔레콤 가입자식별모듈(USIM) 정보 유출 사고에도 새 유심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최근 SK텔레콤에서는 초유의 해킹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SK텔레콤은 전 가입자 대상 유심 무상 교체를 결정했지만,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안내한 바 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유 사장을 포함한 SK그룹 경영진 및 임원이 유심을 교체를 진행했는지 질문했다.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면 유심 교체에 버금가는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설명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유 사장은 “유심보호서비스로 충분하다고 봐서 바꾸지 않았다”며 “최태원 회장과 최창원 의장도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한 상태로 유심 교체는 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임원들의 유심 교체 상황은 조사 후 발표할 예정이다.
또 홈페이지 접속과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어려운 디지털 취약층을 위해 SK텔레콤이 자체적으로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시키고 유심 교체 예약 신청을 대리해 주는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개인의 권리 침해라는 해석이 나올 수 있지만 약관을 바꿔서 임의로 조치하는 방식을 강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통신사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라는 점에도 동의하며 고개를 숙였다. 유 사장은 “초기 대응이 미숙했던 점을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상황을 돌려놓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리고 SK텔레콤 해킹 사고 원인을 확인 중이다. 전날 기준 SK텔레콤 유심보호서비스에는 누적 1057만명이 가입했다. 누적 70만5000개의 유심이 교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