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신한카드 데이터 분석
줄어드는 2030 사장님
트렌디한 카페·식당 창업후
치열한 경쟁 못버티고 탈출
영세업자 매출악화 더 심각
은퇴후 쉴틈 없는 5060
고령화 빨라지며 창업 늘어
소자본 무인매장 확산도 한몫
안전한 업종 찾아 폐업 적어
◆ 위기의 자영업 ◆
2030세대의 창업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카페나 트렌디한 식당 등 경쟁이 치열한 업종에 뛰어드는 경우가 많아서다. 여기에 여유 자금 자체가 부족하다 보니 일시적 경영 어려움에도 폐업으로 내몰리는 사례가 많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13일 "청년 창업자의 경우 중장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본이나 경험이 부족한 상황이 많은데, 주로 포화 업종인 요식업에 진출하다 보니 대부분 경쟁에서 밀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KB국민카드 가맹점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기준으로 가맹점주 평균연령이 낮은 업종은 휴게음식점(카페·패스트푸드 등·47세), 학원(48세), 레저·스포츠(48세), 미용(49세) 순이었다. 반면 평균연령이 50대 후반으로 높은 업종은 숙박(57세), 직물침구(56세), 유아교육(55세) 업종이었다. 해지율은 휴게음식점이 18.4%에 달했고, 레저·스포츠는 14.5%로 10%를 훌쩍 넘었다. 이에 비해 연령대가 높은 숙박, 직물침구, 유아교육은 해지율이 5~9%였다.
특히 모든 자영업자가 어려웠던 코로나19 때와 달리 최근에는 영세사업자의 매출이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것도 소규모로 시작하는 젊은 층 자영업자의 폐업을 부채질하고 있다. 5060세대에 비해 젊은 층의 자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 1분기 전국 신한카드 가맹점 중 주요 7개 업종(음식점, 카페, 베이커리, 편의점, 의류, 미용실, 피부·성형외과)의 월평균 매출액 지수는 코로나 확산 전인 2019년에 비해 9%가량 증가했다.
다만 규모별로 뜯어보면 연매출 3억원 이하 영세가맹점의 경우엔 2019년 대비 20%나 감소했다. 중소(연매출 3억원 초과 30억원 이하)·일반(30억원 초과 또는 신규 사업자) 가맹점의 경우엔 각각 24%, 18% 정도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특히 영세사업자의 음식점 매출액 지수는 26% 감소했다. 중소사업자와 일반사업자의 음식점 매출액 지수가 각각 22%, 19% 증가한 것과 대조되는 수치다.
베이커리, 편의점, 의류 등 대부분 업종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다. 영세 규모의 베이커리는 올 들어 매출이 18% 감소했으며, 편의점과 의류는 각각 40%, 32% 줄었다. 중소·일반사업자가 모두 상승했지만 영세사업자 홀로 매출액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관계자는 "중소·일반업종에 비해 영세가맹점의 매출 감소 폭이 커 영세사업체의 영업 타격이 특히 막심한 것으로 보인다"며 "물가 상승 및 경기 변동 심화 등으로 인해 소비심리가 위축될수록 규모가 작은 영세가맹점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2030세대 청년 자영업자들이 줄어드는 가운데 5060세대의 자영업 창업은 상승곡선을 타고 있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신규 가맹점주 중 50·60대 회원의 연령대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20대는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5060세대는 은퇴 후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창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며 이들의 진입 속도 역시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무인 매장 등 소자본으로 창업할 수 있는 곳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한몫했다.
50대 직장인 김준형 씨(가명)는 무인 카페 창업을 앞두고 있다. 은퇴를 앞둔 시점에 긴 노후를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다. 주변에서는 창업을 만류했지만 "퇴직 후 배당과 연금 수익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창업을 고려했다"며 "무인 매장의 경우 초기 자본이나 운영 비용이 크지 않은 것도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5060세대가 젊은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산이 많고 안전한 업종으로 접근한 것은 폐업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이 지난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대 폐업률은 20.4%, 30대는 14.2%로 40대(9.9%), 50대(8.0%), 60대(7.0%), 70세 이상(6.7%)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한편 내수 부진으로 자영업 전반이 위기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자영업자 수는 코로나19 사태 당시 수준인 550만명에 그쳤다.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보다 적다. 엔데믹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자영업자 수가 지난해 말부터 감소로 전환한 영향이 크다.
[박나은 기자 / 이효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