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美CPI 둔화…경제학자들 "관세 영향 6~7월부터"

3 hours ago 1

사진=REUTERS

사진=REUTERS

4월 미국 소비자물가(CPI)는 관세에 의한 영향이 제한되면서 연 2.3% 올라 2021년 이후 연율로 가장 적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통계국이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식품 및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핵심 소비자물가지수는 3월 대비 0.2% 상승했다. 작년 4월과 비교했을 때 2.8% 상승해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헤드라인 CPI는 연간 기준으로 2.3% 상승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경제학자들이 헤드라인 CPI는 0.2%p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것과 일치한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핵심 CPI의 경우 경제학자들이 예상한 0.3%p 상승 보다는 적게 0.2%p 올랐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트럼프의 관세에 따른 영향이 4월부터는 일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미국의 기업들이 관세전 선적 앞당기기에 나서면서 대량 재고를 보유한 상태로 아직 소비자 가격을 올리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4월 소비자 물가에서 관세에 의한 영향은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인플레이션 인사이트’의 설립자이자 대표인 오마이어 샤리프는 "4월부터 본격화된 상호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은 대부분 6월과 7월부터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8년 트럼프 1기 때도 관세를 올리고 나서 2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수입품의 가격 상승분이 소비자에게 전가됐다고 설명했다.

BMO 캐피털 마켓의 경제학자들은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영향으로 중고차 가격이 한두달 사이 오르게 되면 향후 핵심 소비자물가지수(CPI) 가 다시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샤리프는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가 이번 주말에 설정된 30% 수준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연간 핵심 CPI는 3.5%로 정점을 찍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8월까지는 냉방용품의 물가 상승을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RSM의 수석 경제학자인 조 브루수엘라스는 "미국 기업들이 수입 비용이 대폭 증가하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반적으로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에 발표한 높은 관세가 2~3개월의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해방의 날’ 발표 이후 대부분의 관세를 90일간 유예한 상태이지만, 경제학자들은 미국 소비자들이 다양한 상품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관세는 여전히 수십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번 주 트럼프 정부가 수입 비중이 높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90일간 115%포인트의 관세 부과를 유예하면서 경기 침체 위협이 줄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다수의 무역 상대국들과 협상을 통해 현재보다 관세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면, 미국 소비자 물가에 대한 영향은 크게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4월 소비자물가 발표후 미국채 수익률은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뉴욕 증시의 나스닥 지수 선물은 0.2% 상승하고 다우지수 선물은 0.5% 하락했다. S&P 500 지수 선물은 등락을 거듭했다.

월요일 미중 관세 휴전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치를 낮춘 금리선물 거래자들은 올해 약 두 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CME 그룹의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스왑 시장은 지난 주까지 7월 첫 금리인하에서 금주 들어 9월 첫 인하에 가격을 반영하고 있다.

일부 연방준비제도 관계자들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이 들 때까지 금리를 인하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