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일상, 뉴진스 사태에 “계약은 장난이 아냐”

16 hours ago 4

그룹 뉴진스(NJZ 하니, 민지, 혜인, 해린, 다니엘)가 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어도어, 뉴진스 상대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심문기일을 마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3.07. [서울=뉴시스]

그룹 뉴진스(NJZ 하니, 민지, 혜인, 해린, 다니엘)가 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어도어, 뉴진스 상대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심문기일을 마친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3.07. [서울=뉴시스]
작곡가 겸 프로듀서 윤일상이 그룹 ‘뉴진스’ 사태와 관련 소신 발언했다.

윤일상은 2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프로듀썰 윤일상’에 업로드된 ‘소신발언! 뉴진스 사태와 가요계 비하인드 썰 푸는 형’이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뉴진스 사태와 관련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라고 운을 뗐다.

제작진이 누구보다 아티스트 권익보호에 신경을 많이 쓴 작곡가로서 최근 뉴진스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아티스트를 애정한다고 하면서 아티스트를 위험에 노출시키면 안된다. 그건 진정으로 애정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조심스러워했다.

뉴진스 멤버들에 대해 너무 가슴이 아프다며 “먼 훗날 지금의 행동을 후회할 수 있지 않나. 그게 먼 훗날이 돼 보지 않고 안 보인다. 그러면 어른들이 도움이 돼야 한다. 그 옆에 있는 어른들이 그 친구들의 앞날을 본인의 이익 때문에 핸들링 한 게 아닌가 생각이 아니다”고 추정했다.

가수 제작은 사람 비즈니스라는 점을 특기했다. 물건 비즈니스가 아니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사람의 인생을 대신 책임져주겠다는 함의가 있다. 하지만 영리 목적이니까 돈은 벌어야 하지 않나. 거기에서 오는 계륵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내부에 속해있다 보면 비교가 된다. 저쪽 회사가 더 잘해주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A회사가 이걸 잘하면 B회사는 이게 안된다. 예를 들어 거대 회사는 마케팅도 잘되고 PR도 잘한다. 하지만 아티스트가 너무 많아 이 가수만 케어할 수 없다. 그리고 약간 공산품 같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영세 제작자는 끝까지 갈 수 있고 신뢰가 있는 한 같이 성장하는 케이스가 될 수 있어 아티스트를 귀하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물론 (큰 회사가) 아티스트를 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게 아니라 터치가 다른 것이다. 어떤 게 맞는지는 본인이 선택해야 한다. 뉴진스는 이미 선택했잖나”고 지적했다.
“계약서 썼으면 일단은 이행해야 하는 게 맞다. 그러고 나서 권리를 주장하는 것도 방법이다. 인터뷰까지 하면서 한국음악에 대해 비판하는 것은 생각을 좀 더 해봐도 좋지 않았을까?”라고 되물었다.

무엇보다 아티스트를 너무 노출 시켜서 발언하게끔 만드는 어른들이 오히려 문제라고 했다. 멤버들을 욕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윤일상은 “진짜 그 아티스트를 원하면 그렇게 안 내놓을 것 같다. 그 얼마나 힘든 일이냐. 안타까운데. 음악해야지 않나. 그래서 회사가 있는거 아니냐. 인터뷰도 입장 정리도 다 본인들이 하면 그건 회사가 존재하는 게 아니지. 근데 스스로 그 회사를 부정해버렸지 않나. 그런 부분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1992년 가수 박준희의 ‘오 보이’로 작곡가 데뷔한 윤일상은 이후 DJ DOC, 영턱스클럽, 이은미, 젝스키스, 터보, 엄정화, 김현정, 김건모, 쿨 등과 작업하며 당대를 대표하는 작곡가가 됐다.

앞서 뉴진스 멤버들은 지난해 11월 어도어가 전속계약을 위반했다며 계약 해지를 선언했다. 하지만 어도어는 뉴진스 멤버들을 상대로 낸 ‘기획사 지위 보전 및 광고 계약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법원은 어도어의 손을 들어줬다. 이에 따라 본안 소송 1심 판결이 나오기 전까지 뉴진스는 어도어를 배제하고 독자 활동을 할 수 없게 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