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과 의사들이 휴일인 20일 집회를 열고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 중단을 촉구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에서 "정부는 과오를 인정하고 책임 있는 사과와 수습책을 제시하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며 "소위 의료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해야 한다. 의료를 파괴한 정권은 결자해지의 책임을 다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제 정부도 응답하길 바란다"며 "무책임하게 다음 정권으로 미루려는 행동은 용납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의협의 이날 궐기대회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등 전면 중단과 철회를 요구하려는 의도에서 열렸다.
정부가 지난 17일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렸음에도 추가적인 압박에 나선 것이다.
정부의 증원 정책 철회와 원칙 훼손을 두고 기득권층인 의사 집단의 실력 행사에 정부가 또다시 무릎을 꿇은 것이라는 비판적 여론이 비등한 상황이다.
이날 집회에는 의사와 의대생 등 약 2만명이 참석했다고 의협 측은 추산했다.
의협은 결의문에서 "의료 정책은 의료계를 배제한 일방적 구조 속에서 추진될 수 없으므로 필수의료 패키지를 포함한 윤석열표 의료 개악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또 "정부와 국회는 보건의료 정책 전반을 의협과 함께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재설계하라"며 "정부는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가해진 행정명령에 공식 사과하고, 이들의 학습권과 수련권 회복을 위한 실질적이고 책임 있는 조치를 시행하라"고 했다.
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