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이재명, 文·尹과 ‘정치보복’ 같은 길…난 매몰 안 될 것”

7 hours ago 1

“이재명 공약, 어설픈 부분 많아…TV토론 궁금해져”
“일선 교사, 민원 직접 응대 완전히 없애야…카운슬러제도 도입”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스승의 날인 15일 서울역 공간모아에서 열린 ‘서이초 사건과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대한초등교사협회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5.15/뉴스1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스승의 날인 15일 서울역 공간모아에서 열린 ‘서이초 사건과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대한초등교사협회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5.15/뉴스1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는 ‘내란 세력을 찾아내 깨끗한 법정에 세워야 한다’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발언에 대해 “결국 이게 이 후보의 한계”라고 15일 비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에서 대한초등교사협회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후보 입장에서 각종 여론조사가 유리하다는 얘기가 나오는데도 누군가를 때려잡겠다는 얘기를 반복하고 있다. 문재인, 윤석열 두 분의 전직 대통령과 똑같은 길을 가겠다고 예고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실패를 말씀드리겠다. 문 전 대통령은 큰 표차로 집권한 다음에 그 동력을 정적과 반대세력을 제거하는 데 모두 투입했다”며 “윤석열·한동훈 검사를 투입해서 반대세력을 일망타진 하는 것에 정권 초반의 동력을 모두 사용했다”고 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도 당선되자마자 했던 것이, 이기고 난 다음에 자당의 당대표를 적으로 만들고, 이 후보를 감옥 보내겠다고 난리 치는 등 상대를 제압하려는 행동만 하다 결국 탄핵에 이르렀다”고 했다.

그러면서 “적폐청산이 어쩌면 옳은 일일지도 모른다는 여론이 있다. 결과적으로 정치 극한 대립의 결과를 낳았다”며 “윤 전 대통령도 당시 이 후보를 범죄자로 만들면서 협치 공간을 없앴다. 결국 본인이 타격을 받았다. 저는 당선되면 정치보복과 적폐청산에 매몰되지 않고 첫날부터 능숙하게 대한민국 미래산업을 발전시키고 인재를 육성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가 본인에 대한 언급을 삼가는 것을 두고는 “지난 2022년 대선과 지방선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저와 설전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김포공항 이전 공약”이라며 “제가 김포공항을 없애면 제주 관광이 어떻게 되겠냐고 질문을 던지자 제대로 된 해법을 내놓지 못했다. 그러더니만 토론회 공간에서 앞으로 전세계 비행기는 수직이·착륙할거라는 식으로 되는대로 갖다붙이면서 온라인상에서 희화화된 적 있다”고 했다.

이어 “지금 이 후보의 공약들이 굉장히 어설픈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제가 그걸 지적했을 때 재반박을 아끼면서 이슈가 축소되길 바라는 것 같다”며 “이번 주말에 있을 TV토론에서 이런 것들을 질문했을 때 적극적으로 응대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고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스승의 날인 15일 서울역 공간모아에서 열린 ‘서이초 사건과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대한초등교사협회 간담회에서 교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5.15/뉴스1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스승의 날인 15일 서울역 공간모아에서 열린 ‘서이초 사건과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대한초등교사협회 간담회에서 교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5.15/뉴스1
그는 여론조사에서 본인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은 것을 두고는 “지난 2022년 대선 때도 안철수 후보의 호감도가 20% 남짓으로 측정됐다. 양당의 견제를 두루 받는 제3지대 후보라면 항상 높은 비호감도를 받을 수밖에 없는 여건”이라며 “오히려 언론에서 그런 부분을 대서특필하는 것은 국민의힘에서 단일화 국면을 강하게 압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 후보는 스승의 날을 맞아 교육 정책을 강조하면서 “대한민국이 지금 학령인구가 줄면서 교육정책에 있어서 한번 큰 시도를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왔다”며 “지금 다른 후보들의 공약을 보면 교사들의 보육 부담을 강화한다든지 복지에 가까운 정책만 거론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일선 교사들이 본인에 대한 민원에 직접 접근하는 경우는 완전히 없애야 한다고 생각한다. 완전히 차단하는 게 입법화돼야 한다”며 “외국에서 운영하는 카운슬러제도를 적극 활용해서 학부모의 직접 접촉이 아닌 간접 접촉을 통해 응대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