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떠나는 사람 10명 중 8명은 ‘2030’

6 hours ago 1

올해 1분기 순유출 규모 2165명
작년 같은 기간보다 487명 늘어
높은 물가-자영업 불황이 원인
도, 일자리 6388개 창출 등 추진

7일 제주특별자치도는 ‘일자리혁신위원회’ 회의를 열고 청년 일자리 대책 등을 논의했다. 제주도 제공

7일 제주특별자치도는 ‘일자리혁신위원회’ 회의를 열고 청년 일자리 대책 등을 논의했다. 제주도 제공
이주 열풍으로 한때 연간 1만 명 이상 인구가 늘어났던 제주도가 이제는 인구 감소를 걱정하고 있다. 특히 청년층 이탈이 두드러지면서 제주도는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8일 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올 1분기 제주지역 인구 순유출 규모는 216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678명보다 487명 늘어났다. 전체 순유출 인구의 약 83%가 청소년 및 청년층(20, 30대)이었다.

제주에서는 2009년 이후 상당 기간 꾸준히 인구가 증가했다. 2014년에는 순유입 인구가 처음으로 1만 명을 돌파한 데 이어 2016년에는 역대 최다인 1만4632명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제주살이’가 유행하던 때였다.

하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상승 곡선이 꺾여 순유입 규모가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더니 2023년(―1687명)부터는 들어오는 인구(전입)보다 나가는 인구(전출)가 많아진 곳이 됐다. 급기야 지난해에는 3361명이 제주를 떠나면서 1986년 이후 최대 인구 유출을 기록했다.

인구 순유출은 청년층이 이끌고 있다. 실제 지난해 제주 순유출 인구 중 20대가 절반 이상이었다. 2165명이 빠져나간 올해 1분기 역시 20대 비율이 47.1%였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은 2023년 6월 발표한 ‘제주지역 청년인구 순유출 분석 자료’를 통해 “(청년층 유출이 많아진 것은) 저임금 등 열악한 근로 환경과 높은 생활물가, 주거 비용 부담, 자영업 불황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위기감을 느낀 제주도는 이달 7일 ‘일자리혁신위원회 회의’를 열고 청년 일자리 대책 등을 논의했다. 주요 논의 내용은 △청년 일 경험 관련 신규 사업 확대 △국가기관과 연계한 일자리 사업 발굴 △청년·노인·경력 단절 여성 등 취업 취약계층 대상 양질의 일자리 확대 방안 마련 △기업 대상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 기준과 조건 완화 △청년들의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사업 확대 등이다. 아울러 제주도는 올해 ‘맞춤형 일자리 대책으로 고용시장 조기 안정 지원’을 목표로 △6388개 일자리 창출 △고용 취약 분야 긴급 일자리 1649개 창출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제주는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도소매·숙박·음식점업과 건설업 중심으로 취업자가 줄고, 청년층 취업자 수 감소가 지속되는 등 일자리 부족에 따른 양적 미스매치가 심화하고 있다”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정규직 중심의 일자리를 보완하고, 청년들의 일 경험 확대와 지역 정착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항공우주, 그린수소, 미래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네트워크, 바이오, 푸드테크 등 관련 기업이 청년 채용 시 월 120만 원, 전문기술인력 채용 시에는 월 220만 원을 1년간 지원하고 있다.

송은범 기자 seb1119@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