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판다더니 4억 높여 내놓은 금감원장…韓 "10.15 철회하라"

9 hours ago 2

입력2025.10.29 00:20 수정2025.10.29 00:20

사진=뉴스1

사진=뉴스1

"공간이 너무 좁아져서 고통이 조금 있는 부분입니다만…. 공직자라는 신분을 감안해서 고통을 조금 감수하더라도 처분하고 정리하겠습니다."

다주택자 논란에 휘말린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한 채를 처분하겠다며 한 얘기다. 이 원장이 가진 주택 두 채 모두 공급면적 155.59㎡, 47평형으로 '국민주택'보다 큰 중대형이다.

한 채를 처분하려던 계획이 사실은 자녀에게 증여할 거였다고 속내를 털어놓았다가 뭇매를 맞은 이 원장은 등 떠밀리듯 결국 한 채를 팔겠다고 내놨다. 하지만 뜻밖의 반전이 있었다.

이재명 정부의 10.15 부동산정책 이전보다 무려 4억 높게 집을 내놓은 것이다. 지난달 실거래가는 18억원이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금감원장조차 10.15조치 이전보다 4억 높게 집을 내놨다"면서 "이래 놓고 앞으로 10.15조치로 집값 내릴 거라고 하는 건 '국민 상대로 사기치는 것'이다. 이걸로 이미 이 정책은 망했으니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는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10.15 주거재앙 조치는 '집값 오르게 하면 폭망이고, 집값 내리게 하면 성공'이다"라며 "그런데, 대출 규제 등 10.15 주거재앙 주도한 민주당 정권의 실세 금감원장 이찬진 씨조차 집값 오를 거라 예상하고 자기 집을 '10.15 주거재앙 이전보다 4억 높게' 내놨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래 놓고 앞으로 금융당국을 비롯해 민주당 정권이 10.15조치로 집값 내릴 거라고 하는 건 '국민 상대로 사기치는 것'이다"라며 "대출 규제 등 주도한 금감원장이 자기 집값 올려서 10.15 주거재앙 조치가 폭삭 망했다는 것을 온몸으로 보여줬다. 금감원장조차 벌써 이 조치는 실패한다는 쪽에 베팅한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더 늦기 전에, 국민이 더 피해 보기 전에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 원장이 집 한 채를 매각하겠다고 해서 부동산에 확인해보니 이 원장 매물이 22억원에 올라왔다"며 "지난달 (동일 면적 아파트의) 실거래가가 18억원인데, 그 동네 아파트 가격이 한 달 만에 4억원이 오른 것"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이게 정상인가. (집값을 잡겠다는) 10·15 부동산 대책은 실패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 원장은 2002년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공급 면적 155.59㎡ 아파트를 아내와 공동명의로 샀다. 2019년에는 같은 단지 내 동일 면적 아파트를 한 채 더 구입했다. 이번에 내놓은 아파트는 2002년에 산 것이다.

이 원장은 지난 21일 국감에서 아파트 두 채 모두 작업실·서재 등을 겸해 가족들과 실거주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중 한 채는 자녀에게 양도하겠다고 말했다가, 비판이 일자 입장을 바꿔 처분하겠다고 했다.

지난달 이 아파트는 동일 면적이 18억원과 18억2500만원에 각각 거래됐다. 최고가는 2021년 거래된 20억원이다.

이 원장은 당초 아파트 한 채를 20억원에 내놨다가 직후에 22억원으로 가격을 높인 상태다. 이 원장은 국감에서 관련 질의에 "(가격을 조정한 건) 중개인이 한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채널A 보도에 따르면 중개업자는 "집주인 전화 받고 2억을 더 올렸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연대 집행위원장 출신인 이 원장은 2020년 당시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면서 '다주택자 고위공직자 임명 제한' 등을 주장했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