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는 육식을 하는 사람보다 권력욕이 강하고, 성취 지향적이며, 개인주의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폴란드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채식주의자는 육식을 하는 이에 비해 이타성(가족 친구 등 가까운 사람에 대한 배려), 안정성(안정과 안전을 추구하는 가치), 순응성(사회 규범을 따르는 성향) 가치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개인의 권력, 성취, 그리고 자극과 관련된 가치 평가에서 육식파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논문 교신 저자인 폴란드 SWPS 대학교의 존 네즐렉(John Nezlek) 교수는 “연구 결과는 채식 식단이 독립성과 개별성을 중시하는 가치관의 표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채식주의를 흔히 묘사하는 방식과 다소 상충된다”라고 썼다.
즉, 대중의 상상처럼 이타적인 이상주의자가 아니라, 사회적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인 사고로 개인의 목표를 추구하는 성향이 채식주의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뜻이다.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한 이번 연구는 미국에서 1건, 폴란드에서 2건, 총 3건의 별도연구에서 3700여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미국 연구에는 채식주의자 514명과 비채식주의자 540명이 참여했다. 폴란드 연구에서는 각각 636명(채식주의자 약 47%)과 2102명(채식주의자 3.4%)이 참여했다.참가자들의 가치 평가는 심리학에서 널리 사용하는 슈바르츠(Schwartz)의 ‘인물 묘사 가치 설문지(Portrait Value Questionnaire)’를 사용해 진행했다. 보편주의, 박애, 순응, 권력 추구, 지배 욕구까지 다양한 가치관을 측정했다.
왜 채식주의자들은 권력과 성취를 더 중시할까?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채식주의자들이 권력과 성취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는 점이다.
가치 연구에서 널리 활용하는 슈바르츠의 가치 이론에서 권력은 ‘타인과 자원에 대한 지배 추구’, 성취는 ‘사회적 기준에 따라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개인적 성공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 연구를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채식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여성은 양육과 같은 집안일을 더 중시한다는 것이 전통적인 성 고정 관념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채식주의자들이 오히려 전통적인 남성적 가치(권력, 성공)를 더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쩌면 비채식주의자보다 더욱 남성화한 가치관 소유자일수 있음을 보여준다.
채식주의자들은 또한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순응성을 덜 중시했다.
이에 대해 네즐렉 교수는 어느 사회에서나 채식주의자는 소수 집단이기에 사회적 압력과 비판을 견뎌야 하며, 개인 원칙에 대한 강한 확신과 심리적 강인함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결과가 아시아, 남미 등 다른 문화권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날지는 불분명하며 가치(value)를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한계를 인정했다.그럼에도 그는 “채식주의자는 동물의 고통이나 환경 문제에 더 민감하고, 이에 대한 인식이 높을 수 있지만, 이 민감성과 인식이 ‘이타성(Benevolence)’과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또한 채식주의자는 자신의 원칙을 지키는 소수 집단 구성원으로서 일관된 가치를 지니는 경향이 있음을 이 연구는 보여준다”라고 결론 내렸다.
박해식 기자 pistols@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